•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색소음이 몽타주에 미치는 영향 - 작품 <나의 주인공으로부터>를 중심으로 - (Effect of White Noise on Montage - focusing on the work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12
12P 미리보기
백색소음이 몽타주에 미치는 영향 - 작품 &lt;나의 주인공으로부터&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2권 / 6호 / 465 ~ 476페이지
    · 저자명 : 정우용

    초록

    시각과 청각의 상반된 이미지 충돌이 관객의 감정선을 자극하기 위한 효율적 몽타주 기법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운드 몽타주는 음악을 청각 콘텐츠로 사용하는데 국한되어 왔으며, 백색소음을 청각 이미지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백색소음의 정체성을 음향의 주체별 분류를 통해 확고히 하여 백색소음이 비인칭 음향으로써 사운드 몽타주를 위한 확장성 풍부한 콘텐츠라는 근거를 마련한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주요 청각 콘텐츠로 활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긍정적 효과를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푸도프킨, 에이젠슈타인, 미셀시옹의 견해를 통해 몽타주와 사운드의 관계를 알아보고, 시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는 청각 이미지의 대비 효과로 인해 입체적인 정서적 효과를 연출할수 있었던 씬들을 큐브릭 감독의 영화를 통해 살펴본다. 연구대상은 백색소음이 몽타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구체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작품 <나의 주인공으로부터>로 하였다. 작품에서는영상을 시각과 청각으로 구분한 샷별 구성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통해 백색소음의 역할에 접근할수 있었는데 관객 대상의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몽타주에 백색소음 적용으로 입체적 미장센 연출 가능. 2)상상력 확장과 감정이입 증폭을 통해 작품에 대한몰입도 향상. 3)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보편적 이미지 전달 및 개인적 기억을 자극할 수 있는 개방성 확보. 4)시각 이미지와는 독립되어 있는 백색소음의 특성에 의해 연출자의 주제를 지배하는 이미지로 사용 가능. 본 연구성과는 사운드를 활용한 몽타주에 있어서 백색소음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긍정 요소가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몽타주 작업에 있어서 백색소음을 청각 요소로 활용하였을 때 나타난 상상력 확장, 감정이입 증폭 등의 현상이 궁극적으로 영상 미장센의 확장에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known that visual and auditory image collision is an effective montage technique to stimulate the audience's emotional lines. However, most sound montages have been limited to using music as auditory conten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white noise is used as the main content of auditory images. Therefore, by solidifying the identity of white noise through classification by subject of sound, white noise is a non-personal sound, providing a basis for scalable and rich content for sound montage. Based on this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using white noise as the main auditory content for montage.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age and sound through the views of Pudoffkin, Eisenstein, and Michelcion, and examines the scenes that could produce a three-dimensional emotional effect due to the contrast effect of the auditory image that does not match the visual image. The research subject was <From My Hero>, a work produced by the researcher to materialize the positive effects of white noise on montage. In the work, the role of white noise could be approached through the montage eff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t-by-shot composition that divided the video into visual and auditory. 1) Three-dimensional mise-en-scène can be produced by applying white noise to the montage. 2) Improving immersion in the work by expanding imagination and amplifying empathy. 3) Delivering universal images to unspecified people and securing openness to stimulate personal memory. 4) It can be used as an image that dominates the director's subject by the characteristic of white noise independent of the visual imag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o objectively confirm the specific positive elements of white noise in montage using sound. Through this study, phenomena such as imagination expansion and empathy amplification that appeared when white noise was used as an auditory element in montage work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video mise-en-scè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