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A study on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and 'Sooto System' in Chosun Dynas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0.02
39P 미리보기
조선시대 ‘空島政策’의 허구성과 ‘搜討制’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1권 / 275 ~ 313페이지
    · 저자명 : 손승철

    초록

    현재 한국학계에는 언제부터인지 소위 ‘공도정책’이라는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용어는 조선정부가 섬을 포기하는 정책을 실시해왔던 것으로 이해 되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유도해 갔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이 논리를 이용하여 독도의 선점논리를 정당화해가고 있다.
    이 글은 ‘공도정책’의 허구성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조선전기의 武陵等處安撫使와 茂陵島巡審敬差官의 파견을 검토한 후, 조선후기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정착된 搜討制의 실체를 규명하여, 조선왕조가 전기간에 걸쳐 울릉도와 독도를 어떻게 관리해왔는가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조선초기 섬을 비워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유는 왜구의 약탈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처였고, 그 방법으로 거주민을 육지로 불러들이는 刷出이었지만, 그 이후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정책과 제도를 시행했다.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416년부터 ‘武陵等處按撫使’를 파견했고, 1436년부터는 ‘巡審敬差官’을 파견했다.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1694년에는 장한상으로 하여금 울릉도를 搜討하게 하고, 1697년부터는 3년에 1번, 삼척영장과 월송포만호가 번갈아 가며 수토를 정례화 했다. 이후 울릉도 수토는 흉년을 당해 정지하거나 연기하기도 했지만, 170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1800년대에 들면서 三政紊亂으로 정치기강이 해이해졌다.
    수토군의 규모나 편성은 대략 80명 정도로 구성했고, 반드시 倭學譯官을 대동했으며, 4척정도의 배가 출항했고, 格軍과 什物등은 삼척 인근의 강릉, 양양, 평해, 울진 등 5개 마을에서 나누어 부담했다. 또한 수토군의 임무는 왜인탐색과 울릉도 지세조사가 임무였고, 토산물의 진상이나 인삼채취도 부과되었다.
    울릉도 수토제는 1881년 울릉도 개척이 본격화되고 내륙인의 울릉도 거주가 정식으로 허용되면서,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영어초록

    The term of 'Gongdo Policy' is currently in common use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t was said that Chosun Dynasty has had a policy of giving up islands and it induces the conclusion that Ulengdo and Dokdo were not the territories of Chosun. Moreover, Japan is justifying its preoccupancy theory of Dokdo, by making use of 'Gongdo Policy'In order to reveal the falsehood of 'Gongdo Policy',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how Chosun Dynasty had managed Ulengdo and Dokdo throughout its governance, examining the dispatch of 'Moorengdengcheoanmoosa(武陵等處按撫使)' and 'Moorengdosoonsimgyungcahgwan(武陵島巡審敬差官)'in the former Chosun Dynastyand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Sooto System'.
    It is true that government let the island evacuate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owever, it was an action in advance to prevent the plunder of Japan(Waegu). The government called in the inhabitants of island to the land , but still implemented the policy and system to continuously manage the island.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dispatched 'Moorengdengcheoanmoosa' from 1416 and ' Moorengdosoonsimgyungcahgwan ' from 1436. In the late Chosun Dynasty, Ulengdo was guided by Janghansang in 1694, and Samchukyoungjang(三陟營長) and Wolsongpomanho(月松浦萬戶) kept it regular once every three year from 1679. Afterward Ulengdo Sooto was stopped or delayed by famine from time to time, but was continuously performed in the 1700. However, Samsungmoonran(三政紊亂) occurred in the 1800 and it resulted to a breach of political discipline.
    The scale or formation of Sooto force consisted of about 80 soldiers with 4 ships and accompanied the interpreter of Japanese at any cost. Soldiers and all expenses of goods were shared by 5 villages such as Gangreng near Samcheok, Yangyang, Pyunghae, and Uljin. The mission of Sooto Force was mainly to detect the Japanese pirate raiders and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Ulrengdo, including gathering of local products or ginseng.
    Ulengdo Sooto system lasted until 1894 with pioneering Ulengdo in 1881 after the government officially permitted people in the interior to inhabit in Uleng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