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mplation Method of Vijñapti Mātratā and Hanmaum Juingong)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8
39P 미리보기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5권 / 45 ~ 83페이지
    · 저자명 : 안유숙

    초록

    유가행파의 수행은 기본적으로 사마타와 위빠사나행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유가행의 ‘유식’관법은 마음 안에 현현한 영상이 오직 표상임을 자각하고, 나아가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함께 이루어진 심일경성 가운데 진여의 성품을 관하여 궁극에는 구경을 성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가행의 계위는 자리이타의 대승적 관점에서 삼승三乘을 포섭하며, 자량위∙가행위∙견도위∙수도위∙구경위로 나뉜다.
    대행선사는 참 나로서의 주인공을 진여, 불성, 본래면목 등의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며, 한마음 주인공 관법을 ‘1단계 나를 버려서 나를 얻는 소식’, ‘2단계 나와 더불어 일체를 얻는 소식’, ‘3단계 나와 더불어 일체를 버려서 일체를 얻는 소식’으로 구분한다. 대행선사의 관법은 자신의 보리와 열반뿐만 아니라 공생共生∙공심共心∙공용共用∙공체共體∙공식共食이라는 무심無心의 보살행으로 귀결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유가행 유식관법에서 지향하는 바와 유사한 측면들이 발견된다. 비록 초기 유가행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이 명료하게 연결되지 않지만, 유가5위의 자량∙가행∙견도 중 견도는 대행선사의 1단계 주인공 관법과, 수도는 2단계 주인공 관법과, 구경위는 3단계 주인공 관법과 배대하며 대행선사의 주인공 관법을 조명한다.

    영어초록

    The practice of early Yogācāra basically involves the contemplation methods of śamatha (止 transliterated as 奢摩他) and vipaśyanā (觀 transliterated as 毘婆舍那). It is the contemplation method of 'representation-only' (or consciousness-only 唯識). This practice focuses on observing images that surface in our mind. In this practice, the observation (or contempla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one-pointedness of the mind (心一境性 Skt.cittaikāgratā: meditative concentration; fixing oneʼs mind on one object.) where both śamatha and vipaśyanā united. Here we can observe the True Suchness (眞如 Tathatā) and ultimately attain Buddha-hood.
    The distinct stages of Yogâcāra practice accommodate the three vehicles (三乘: śrāvaka 聲聞, pratyekabuddha 緣覺 and bodhisattva 菩薩) in terms of Mahāyāna‘s spirit, "improving oneself and bringing benefit to others (自利利他). Furthermore, these stages are divided into five sub-stages as follows: 1. the stage of preparation (資糧位), 2. the stage of application (加行位), 3. the stage of proficiency (通達位), 4. the stage of practice (修習位) and 5. the stage of completion (究竟位).
    Daehaeng's Juingong (主人公) thought is based on the Buddhist traditional central doctrine of True suchness (眞如), Buddha's nature (佛性), and Original true self (本來面目). Thus, Juningong is our true nature, our true essence and the master within that is always changing and manifesting, without a fixed form or shape. Juingong meditation focuses on faith, selflessness and observation or contempla-tion. That is the way to discover your true self. So, first of all "I" must die. The practice of Juingong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abandon the concept of self. The habits and thoughts of "I", "me", and "mine" still remain. So the second stage is to get everything that includes the true self. The third stage is to throw everything I got. At this stage, you will be able to manifest such that "you" become "me" and "I" become "you".
    If we compare the contemplation methods between the two practices, the stage of accumulation (資糧位 Saṃhāra-mārga), preparation (加行位 Prayoga-mārga) and insight (通達位 Darśana-mārga) of Yogācāra's Five Stages can be found in the first stage of Daehaeng's Juingong Thought the path of cultivation (修習位 Bhāvanā-mārga) is found in the second stage, and the path of consummation (究竟位 Niṣṭā-mārga) is found in the third st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