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를 5세의 제국 이념과 공적 의례 (Charles V's Imperial Idea and Public ritu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01
42P 미리보기
카를 5세의 제국 이념과 공적 의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102호 / 441 ~ 482페이지
    · 저자명 : 윤선자

    초록

    카를 5세는 평생 수많은 공적 의례를 거행했고, 거기에 그의 제국 이념을 담았다. 황제로 선출되면서 1520년 아헨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 그것은 800년 샤를마뉴 대제의 대관을 계승한 것으로, 교회 보호자로서의 황제 역할을 확인하였는데, 중세 제국 이념의 기반을 형성하였다. 더 나아가 황제와 선제후 사이의 봉건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중세 제국 이념의 또 다른 기반인 주군으로서의 황제를 확인했다. 아헨 대관식을 통해 제권을 과시했지만 그것은 중세적이고 봉건적이었다. 그는 제권을 고양하기 위해 교황에 의한 로마 대관식을 원했다.
    사실 중세 제국 이념 중에는 또 다른 흐름이 있었다. 그것은 고대적 기원을 가지는데,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의해 강조된 것으로 아우구스투스 황금시대와 그리스도 통치를 결합한 것이다. 그 기반에 ‘혁신’의 개념이 놓여 있는데, 교황과의 관계에서 황제의 세속권 강화로 이어졌다. 이것은 프리드리히 2세를 거쳐 단테의 보편군주국 사상으로 이어졌다. 카를 5세의 재상인 가티나라는 이 보편군주국을 의례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는데, 그것이 볼로냐 대관식이다. 여기서 교황은 황제에게 대관하지만 이미 권력의 추는 황제로 기울어진 상황에서 벌어진 것으로, 교황의 권력보다 황제의 세계 지배를 보여준 의례라고 볼 수 있고, 가티나라의 보편 군주국을 실현한 것이다. 교황은 세계 지배자인 황제를 성화한 것이다.
    카를 5세의 제국 이념에서 정점은 임페라토르의 개념이고 그것은 1529년 볼로냐 입성식과 이후 이탈리아 개선식에서 표현되었다. 고대 로마 개선식과 개선문을 부활시켜 찬양한 것은 중세 교회의 보호자로서의 황제, 주군으로서의 황제가 아니라, 고대 로마의 황제이고 그의 절대적 권력, ‘임페라토르’였다. 카를 5세는 고대황제의 절대권을 추구했고 그것으로 종교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세계를 건설하고자 했지만 그의 제국 정책은 실패했다. 16세기 중반을 넘기면서 유럽의 정치적으로, 종교적으로 분열이 명백해졌다. 그의 제국 이념의 실패와 한계는 안트베르펜 입성식을 통해 표현되었다. 이렇게 실패한 제국 이념과 그의 공적 의례를 ‘유령’으로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중세적 측면에서 이슬람의 위협을 제거하는 황제로서의 역할을 다했을 뿐만 아니라, 근대적 측면에서 그가 의례에서 표현한 임페라토르는 이후 ‘주권’으로 이어져 절대주의 형성에 기여했다.

    영어초록

    Charles V celebrated numerous public rituals throughout his life, and incorporated his imperial idea into it. Elected as emperor, he held a coronation ceremony in Aachen in 1520. It succeeded Charlemagne's coronation in 800, confirming the emperor's role as the protector of the church, and formed the basis of the medieval imperial idea. Furthermore, by affirming the feud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eror and the Prince-elector, Charles V identified the emperor as the feudal lord, another basis for the medieval imperial idea. He showed off his power in the Aachen coronation, but it was medieval and feudal. He wanted the coronation of Rome by the Pope to elevate his power.
    In fact, there was another trend among medieval imperial idea. It has an ancient origin, emphasized by Constantine the Great, combining the Golden Age of Augustus with the rule of Christ. There was the concept of “renovatio” in it, which l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emperor's secular power in relation to the pope. It passed through Frederick II to Dante's Universal Monarchy theory. Mercurino di Gattinara, the chancellor of Charles V, tried to express this Universal Monarchy ritually, which was the coronation of Bologna in 1530. Here, the Pope presided over the coronation, but the weight of power rests with the emperor. The coronation showed that the emperorship was stronger than the papacy. The Pope sanctified the emperor as 'Dominus Mundi'.
    The pinnacle of the imperial idea of Charles V was the concept of 'Imperator', which was expressed at the triumphal entry of Bologna in 1529 and italian triumphs in 1530's. It was not the emperor as the protector of the medieval church, the emperor as the lord, but the emperor of ancient Rome and his absolute power, Imperator, that praise at the triumphs. Charles V pursued the absolute power of the ancient emperor and, with it, attempted to build a world that was religiously united, but his imperial policy failed. By the mid-16th century, political and religious divisions in Europe became apparent. The failures and limitations of his imperial idea were expressed through the entry ceremony of Antwerp. This failed imperial idea and his public rituals could be evaluated as "ghosts." But not only did he fulfill his role as an emperor who eliminated Islamic threats in the medieval aspect, but in the modern aspect, the imperator he expressed in his rituals later became 'sovereignty' concept,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bsolut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