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 乾隆帝의 貢馬圖와 서역 관계 (The Tribute Horse Paintings and the Mystification of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during Qianlong era(r. 1735-1796))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8
43P 미리보기
淸 乾隆帝의 貢馬圖와 서역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5호 / 111 ~ 153페이지
    · 저자명 : 유재빈

    초록

    건륭제는 재위 초년부터 말년까지 다양한 형태의 공마도를 그렸다. 그러나 각 시기마다 말 진상 의 의미는 차이가 있다. 우선 1743년 ≪십준도≫는 이미 청 황실과 팔기군의 일원이 된 몽고족군왕들이 진상한 것이다. 이들은 조공의 의무를 지닌 번족이 아니었기에 엄밀한 의미에서 이 그림은 공마도라 부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 마리 말은 모두 진상자 부족의 이름이 표시되었 으며 몽고어로 이름이 부가되어 그 출산지의 특성을 강조하였다.
    5년 후 1748년에 제작된 3축의 <준마도>는 준갈이와 평화 협정기간에 그려진 그림이다. 조공 의 예를 통해 청 조정은 국경의 안보를 확보하고 준갈이는 무역의 이득을 꾀할 수 있었다. 준갈이 의 경우는, 내신의 진상이었던 1743년 ≪십준도≫와 다른 외번의 조공이었음에도 그림은 선례의 형식을 그대로 따라 그려졌다. 이는 청이 준갈이의 조공을 대등한 협정이 아니라 이미 복속된 군신관계로 위계 짓고 싶어했음을 보여준다. 건륭제는 준갈이 사신이 실제로 조공을 올리는 조공 장면 을 포함함으로써 그 의미를 강화시켰다.
    1759-1763년에 제작된 합살극, 발달산, 애오한의 공마도는 서역 정벌의 결과로 제작된 것이다. 건륭은 1757년 준갈이 전투에 이어 합살극 일대의 종족을 차례로 정복하였다. 준갈이와의 평화협정 기간과 달리 이 시기의 조공은 ‘복속’을 의미하였다. 예전의 어제가 건륭제의 말에 대한 개인적인 감상이 표출되었던 것과 비교해 이 시기의 어제는 조공마에 담긴 서역 정복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1772-73년에 제작된 다양한 출산지의 말 그림은 1771년 토구트의 입국이 계기가 되었다. 건륭 제는 토구트의 이주 요청을 ‘귀환’이라 부르며, 천하가 감복하여 스스로 제국의 통치아래 들어오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는 앞서 1748년의 준갈이 준마도 3축과 함께 이 시기 토구트를 비롯한 다양한 민족 구성원이 진상한 7마리의 준마도 7축을 합쳐서 다시 ‘십준도’라고 부르게 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출신지의 십준도 ‘재’제작은 건륭의 초년기부터 시작된 서역 통치가 비로서 완성되었음을 상징하였다.
    건륭이 낭세녕을 비롯한 선교사 화가들에게 주문한 공마도는 일관된 흐름을 보이면서도 다양한 도상과 형식으로 변주되어 나갔다. 건륭은 기본적으로 이공린의 <오마도>에 보이는 ‘공마도’의 도 상과 백묘법의 화풍, 조맹부의 <욕마도>에 나타나는 ‘교원목마’의 도상과 채색 화풍을 교차하며 병행해나갔다. 그의 말은 전통 ‘시화합벽첩’으로 제작되어 산수화나 묵죽화와 같은 문인화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고, 수렵도에 등장하여 ‘고사 속 실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차와 변주 속에서 중화와 이족의 경계는 사라진다. 그는 자신이 정복한 민족의 개별성을 조공마의 실증적 묘사와 한, 만, 몽, 회문의 다중 언어체계로 드러내었다. 이를 통해 공마도는 화이관이 아닌 다민족적 특성 지향하게 되었다. 황실 소유가 된 각지의 말은 다시 만주족 황실 의례와 황제 기마 초상에 삽임됨 으로써 청 제국의 일원이 되었다. 즉 다민족성이 동등하고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청 문화로 흡수, 귀결되는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Emperor Qianlong ordered various forms of tribute horse painting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his reign. The horses in the paintings were tribute given by different tribes as results of consolidation, conquest war or trade between Qing and those tribes. First, in 1743, The Ten Steeds was a tribute paintings from East Mongolian generals who had already become members of the Qing imperial family and the Eight banners. Since they were not a clan with a duty of tribute, this painting cannot be called tribute paintings in a strict sense. Nevertheless, all ten horses were marked with the names of the tributing tribes, and their names were added in Mongolian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irthplaces.
    Five years later, the three of tribute horse paintings were produced in 1748, which were later included in The (Second) Ten Steeds. They were painted during the period of the peace agreements with Dzungar. Through the tribute ritual, the Qing court was able to secure the security of the border while Dzungar was able to benefit from the trade. Although Dzungar was an independent tribe different from the east Mongolia, their tribute horse painting was maintained the precedent form in 1743. It shows that the Qing considered the peace agreement with Dzungar not as an equal trade contract, but as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his subjects. The Emperor Qianlong reinforced its meaning by including the scene of tribute in the painting in which the Dzungar envoys pay tribute to the emperor.
    The horses tribute paid by Kazakhstan, Badakhshan, and Afghanistan were produced between 1759 and 1763. They were the result of the Qianlong’s Western conquest. Unlike the period of the peace agreement with Dzungar, the tribute in this period meant 'submission'. Qianlong’s inscriptions on these paintings, emphasized the triumph of the war unlike the previous inscriptions on The Ten Steeds, which expressed personal appreciation and affection towards his horses.
    The horse paintings of various birthplaces produced in 1772-73 was triggered the entry of Torgut in 1771. Emperor Qianlong called Togut's request for migration as "a return" and evaluated it as a phenomenon in which people of the world voluntarily come under the Qing empire. He combined the three Dzungar horses painted in 1748 and the seven hors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such as Manchu, East Mongolian, Torgut, and rename it as The Ten Horses. The ‘re’-production of the The Ten Horses of various ethnic origins symbolized the completion of Qianlong’s Western conquest, which began in the early years of Qianl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