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事功’ 추구의 경세적 의미 (Sa-gong(事功) in 17th-century Joseon and its Political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17세기 ‘事功’ 추구의 경세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23권 / 2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이민정

    초록

    효종대는 국가운영의 방향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이 시작된 시기였다. 두 번의 큰 전쟁 이후 본격적인 국가 재건을 위한 조야의 노력은 효종 즉위 이후 본격화 되었다. 국방력의 강화와 이를 위한 국가재정의 확보,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는 것은 부국(富 國)과 안민(安民)의 성취를 의미했다. 효종대 사공(事功)의 추구가 권장되었던 것은안민을 해치지 않으면서 부국을 달성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였다. 사공 추구의 정당성은 왕안석의 신법에 대한 송시열의 인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효종대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당대 지배층들의 광범위한 동의를 얻고 있었다.
    한편, 사공의 추구에 대한 합의 속에서 ‘어떤 사공’을 성취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견해가 갈렸는데, 국가 운영의 측면에서 보자면 구체적인 제도나 정책의 시행 과정에서 관련된 실무자들과 이에 대한 비평자들의 논의를 통하여 드러났다. 당시 시행된 노비추쇄 정책에 대하여 이것이 ‘공리’를 지향한다는 비판이 잘 보여준다. 당대의 일반적인 인식에 따르면 공리의 가치는 안민을 해치는 패도(覇道)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에지양되어야 할 것이었다. 사공 추구는 정당하지만 공리의 차원이어서는 옳지 않다는것이 당대인들의 보편적인 생각이었다. 공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전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유계의 인식에서 보이는 공리에 대한 사유는 상기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면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그는 현실적으로 국가를 운영하는 상황에서는, 부국과 안민의 길 사이에서 그 어느 것도 포기할 수 없다는 신념을 도의와 공리 양자를모두 성취하고 싶다는 말로 표현하였다. 공리에 대한 부정 일변도의 인식에서 벗어나국가 운영의 현장에서는 공리도 포기할 수 없다는 인식은 17세기 조선의 성리학 정치사상의 내적 전환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King Hyojong’s reign was a time of serious consideration for the direction of the country. Efforts to rebuild the country in earnest after two major wars began in earnest after Hyojong’s ascension to the throne.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securing national finances, and stabilizing the lives of the people meant a wealthy nation(富國) and proper governance(安民). The encouragement of the pursuit of utility(事功) during King Hyojong’s reign was a result of the demands of the times to be both wealthy nation and proper governance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amidst the consensus on the pursuit of utility, there was a divergence of views on what kind of utility should be achieved. In terms of state management, this was manifested in the debates between the practitioners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institutions or policies and their critics. The criticism of the Nobi tracing policy implemented at the time is a good example. This is because it was perceived as utilitarian(功利).
    According to the prevailing perception of the time, the pursuit of utilitarian was akin to a path that harmed proper governance and should be avoided.
    The general consensus of the time was that the pursuit of utility was justified, but that it was not right to turn it into utilitarian. It can be said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utilitarian was presupposed. On the other hand, Yugye (俞棨)’s perception of utilitarian allows us to discover a different aspect of the common perception. He expressed his belief that, in the realistic situation of state management, he could not give up either the path of wealthy nation or the path of proper governance by saying that he wanted to fulfill both virtue and utilitarian. This shift from the perception of the negation of utilitarian to the realization that neither can be abandoned in the field of state management suggests an inner shift in the political thought of Neo-confucian in 17th-century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