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상 주택공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ousing Public Concept in Constitutional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08
25P 미리보기
헌법상 주택공개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2권 / 2호 / 319 ~ 343페이지
    · 저자명 : 여경수

    초록

    한국사회에서 안정적인 주거생활에 대한 문제는 개인의 힘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연대와 국가의 적극적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주거권 보장은 모든 국민이 주거의 불안정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행복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향유할 권리를 의미한다. 공공임대주택의 확대와 주거급여제도를 통한 주거에 대한 보편적 복지를 지향할 시점이다.
    주택은 한정된 자원이다. 주택은 인간의 생활을 위한 불가결의 기반이 된다. 주택공개념은 주택을 단순한 상품이 아닌 공공재로 여기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는 국가의 적극적인 주택 시장개입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가 된다. 주택공개념 사상에 기초하면 국가는 건전한 주택시장에서 주택 가격을 조절하고, 적절한 주택의 분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거권 실현을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이나 법제에서 주택공개념에 대한 확립이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주택공개념의 실천방안으로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안이 강구되어야한다.
    첫째, 주거권의 실질적인 보장이다. 주거보장을 중심을 모든 국민이 주거의 불안정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모든 국민이 행복하고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인간다운 주거생활을 향유할 권리가 인정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임대주택의 재고 확대와 적절한 관리이다. 공적자금의 투입과 사회적 연대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확대와 공공임대주택의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실질적인 주거비 보조제도의 실행이다. 국가는 주거비의 지원을 통하여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수준이 향상되도록 하며, 노후주택 개량을 통하여 기존 주택에 거주하는 주민의 주거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right to housing is no doubt one of the most crucial social rights closely connected to the right to life and other civil, political and economic, social rights and freedoms. The right to housing secures social inclusion and integration of individuals into society and contributes to the abolishment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The housing problems in the Korea are a social topic and the process of urbanization. These have been caused by the monopolization of land ownership and the failure in supply of house for the houseless. In particular these could not be solved by the house supplies from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Housing Act is to stabilize people’s residential life and improve residential standards with Articles laid down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supply and management of housing, needed for a pleasant life, and fund raising and management. When the State set up and implement a housing policy, they must make efforts to ①provide people with a pleasant and suitable residential life, ②facilitate smooth functioning of the housing market and a sound development of the housing industry, ③ensure fair and efficient supply, and the management of housing to be pleasant and safe. States are required to adopt comprehensive housing benefit systems to protect low-income. States must adopt appropriate measure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housing, in particular social housing.
    Housing rights are part of Korean fundamental right. Governments have legal responsibilities to “take steps by all appropriate means” to ensure the full and progressive realization of the human right to adequate housing.
    This article illustrates that effective constitutional and legislative guarantees of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in the leg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