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60년대 새로운 정부 공문서의 도입과 근대화의 문제 - ‘공문서 언어’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Official Document in the 1961~1963 and it's Historical Mean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8.08
25P 미리보기
1950~60년대 새로운 정부 공문서의 도입과 근대화의 문제 - ‘공문서 언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3권 / 383 ~ 407페이지
    · 저자명 : 이영남

    초록

    근대화 논의에서 관료제는 주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근대적 사무관리는 문서처리로 이루어지므로 관료제 운영은 물론이고 국가(행정)의 변화, 그리고 근대성 탐구에서까지도 정부 공문서는 주요한 역사적 변수가 된다. 또한 우리는 정부 공문서가 사회적 파급력이 크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정부 공문서는 사회 각 분야에서도 채택해서 알게 모르게 일상을 규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1950~60년대 연구에서 정부 공문서를 직접적으로 다룬 적은 거의 없었다. 이 글에서 정부 공문서를 중심으로 근대화 논의를 새롭게 접근해보려고 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1950~60년대 정부 공문서의 변화양상과 근대화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공문서 언어의 변화양상과 그 역사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정부 공문서의 변화과정을 다루었다. 1961년~1963년에 정부 공문서는 이전의 공문서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변모했다. 몇 가지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기(檀紀) 대신 서기(西紀)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4시간제가 채택되었다. 아라비아 숫자가 도입되었다. 지나친 경어사용을 자제하였다. 한글 가로쓰기와 띄어쓰기라는 새로운 공문서 문장이 등장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적지 않은 역사적 의미가 있다. 서기(西紀)의 출현과 24시간제의 도입은 우리의 일상에서 새로운 시간관념이 지배하게 되었음을 의미할 것이다. 또한 아라비아 숫자의 도입 등 새로운 도량형 표기법이 등장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새로운 도량형 표기법 체제라고까지 말하기는 어려워도 적어도 ‘공적 문서’에서는 새로운 도량형 체제가 성립되었다는 점은 지적할 수 있겠다. 공문서에서 직위와 인격이 구분되어 인격적 요소가 탈색되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직위와 인격을 구분하지 않고는 근대적 합리성이라 말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한글 가로쓰기와 띄어쓰기와 같은 새로운 공문서 문장이 등장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부분은 민주주의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국가의 공문서 언어와 국민의 일상어가 일치하기 시작했으며, 대다수 국민이 국가의 주권자로서 ‘읽을 수 있는 공문서’를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정부 공문서에 체현된 근대화 계열을 다루었다. 새롭게 변모한 정부 공문서에는 두 가지 근대화 계열이 관통한다. 하나는 1950년대부터 있었던 사무 간소화 계열이다. 이승만 정권은 사실상 식민지 사무관리에 입각해 업무를 처리하다가 1957년부터 행정사무 개선사업을 벌이기 시작했다. 특히 1958년부터 한글 타자기를 보급하기 시작하면서 공문서 문장이 한글 가로쓰기로 서서히 변화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하나는 한글세대의 관료제 편입이다. 한글 가로쓰기는 한글세대의 성장과 관료제 사회의 편입, 사무관리 규정의 변화와 실효적 강제, 한글 타자기의 보급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 긴 과정이었다. 1945년 해방 이후 학교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전개된 한글보급운동을 통해 한글에 익숙한 세대가 성장했으며 이들이 1960년대에 관료제로 편입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초반기 국토건설요원의 편입, 직업공무원제도의 정착 등으로 한글세대는 1960년대부터 관료제로 편입하면서 한글 가로쓰기 등 새로운 공문서 변화를 수용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modernization argument, bureaucracy has significant position. Office management which is worked by document processing can be a important historical variable not only bureaucracy administration but also changes in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nd also it can be very important historical variable even in modernity. And also we have to take notice of official document has huge social influence. Official document is adopted in each social sphere so that regulate our every day. In spite of this importance, there is few case that treat official document very directly during 1950s~60s studies.
    In this article, I deal with change and modernization of document especially with linguistic change and historical meaning of official document.
    Fist of all, I will talk about the change of official document. Official document in the 1961~1963 has changed from former times. Some important examples can prove it. Use A.D.(Anno Domini) instead of the Tangun era. And also 24hours system and Arabic numerals system are adopted. Regulate too much polite expressions. Horizontal writing and spacing words are appeared in Korean alphabet. These changes mean a lot of historical meanings. The A.D system’s appearance and the 24hours system’s introduction an imply that new weights and measures system like Arabic numerals introduction can be noticeable. At least we can notice to new weights and measures system is completed even if we can’t say ‘new weights and measures system’. And it is noticeable that decoloration of personality elements because of social position and personality’s classification. If we are not classify social position and personality, it is hard to say modern rationality. And last one, horizontal writing and spacing words appear in new document sentences. This is connected very directly with democracy. Because official document’s language and national everyday language has started unified. And almost nation can read ‘readable document’ as a sovereign.
    Second, official document treated embodiment modernization. Official document which was undergone a complete change has two kinds of systems. One is simplification of a business which was existed since 19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