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단칠정론과 공리公理에서 발하는 칠정 (Habin(河濱) Shin Hudam(愼後聃)`s theory of Four-seven(四端七情論) and the seven Public feelings(公七情))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04
36P 미리보기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사단칠정론과 공리公理에서 발하는 칠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6호 / 153 ~ 188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현

    초록

    신후담은 사단칠정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면서 공칠정公七情 리발설理發說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공칠정 리발설의 제기로 성호학파 내에서 일어난 논쟁에 주목했지만, 그가 해석한 사칠론과 공칠정 리발설의 의미를 명확하게 분석하지 데까지는 미치지 않았다. 그는 사단과 칠정이 근거하고 있는 리의 차이에 따라 리발은 성명을 기발은 형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것은 모든 근원은 하나의 리(理一)에 있어도 다양하게 분화(分殊)된다는 것에 따라 사단과 칠정이 동일한 리에 뿌리를 두더라도 각각 근거로 삼는 리를 다르게 설정한 것이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근원이 되는 음양오행의 리에 뿌리를 두지만 사단은 음양오행의 본체리本體理에 근거하고 칠정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본체리는 곧 맹자가 말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이고 주자가 말한 성명의 바름(性命之正)이며, 칠정이 근거한 리는 맹자가 말한 성색취미聲色臭味의 성이고 주자가 말한 형기의 사(形氣之私)이다. 신후담은 「사칠동이변四七同異辨」을 저술한 뒤 스승 이익에게 자신의 입장을 네 가지로 정리하여 보내는데, 사단칠정은 근거하는 리가 다르고 작동하는 기가 다르기 때문에 리발과 기발로 구별되며 그 의미를 주자가 말한 성명과 형기로 확정한다. 이것은 이황이 소종래所從來에 따라 발생근원과 경로를 구분하여 존재론적 차이로 설명하는 것과는 다르다. 따라서 신후담의 사칠론 논의의 초점이 사단과 칠정에서 성명과 형기로 옮겨가게 된다. 즉 형기에서 드러나거나 성명에서 발하는 정만 남게 되는데, 형기에서 드러나는 정은 사적인 이해관계에 따르게 되어 있지만 호선오악好善惡惡하는 경우는 사적인 이해관계와 무관하므로 형기에서 드러난 정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 신후담이 말하는 공칠정이다. 그러므로 신후담의 공칠정은 이익이 말한 사私가 확장된 것으로서의 칠정(私中之公)과 의미가 다르며, 기대승이 말한 맹자의 기쁨이나 순임금의 분노와 같은 성인聖人의 칠정과도 구별해 보아야 한다. 이 공칠정은 처음부터 성명의 리에서 발하는 칠정이라는 점에서 사단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가 칠정에도 공과 사가 있다고 한 것이다. 신후담이 이렇게 사칠론을 해석할 수 있었던 것은 스승 이익에게 배운 ‘자득’의 정신과 구체적 현실에서 실천 가능한 이론을 추구하고자 했던 그의 학문적 지향이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bin(河濱) Shin Hudam(愼後聃)`s theory of Four-seven(四端七情論) and the seven Public feelings(公七情) Park Jihyun

    Shin Hudam(愼後聃1702∼1761) debate on the Seongho School`s(星湖學派) topic of the seven Public feelings Li-issues(公七情理發). In previous studies, it was attention deployment process and subsequent impact of this discussion. However, these studies did not analyze the reasons for claiming the seven Public feelings Li-issues and his Four-seven theory. Source of a variety of differentiated come everything is one. So different from the Li(理) for its basis. One of the Li that becomes the source is a Li of Yin-Yang and Five elements(陰陽五行之理). Four beginnings is based on Bentili(本體理)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Seven feelings will not. The Bentili is just Mencius said the Xing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之性) and Zhu Xi(朱熹) said Xingming(性命). The Li of Seven feelings is Mencius said the Xing of sound, color, smell and taste(聲色臭味之性) and Zhuxi said the private of HyungKi(形氣之私). Shin Hudam wrote that review and assessment for the previous Four-seven discussions. The article is called Sachildongyibyun(四七同異辨). And then, He sent a summary of four of his opinion to Yi Ik(李瀷1681∼1763). In this article, he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Four beginnings Li-issues(四端理發)’ and ‘Seven feelings Ki-issues(七情氣發)’ to ‘Xingming’ and ‘HyungKi(形氣)’. This is not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separation of the source and path generated by a ‘Sojonglae(所從來)’ of Yi Hwang(李滉1501∼1570). Thus, Shin Hudam`s Four-seven will change the focus of the discussions as a matter of ‘Xingming’ and ‘HyungKi’ in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But ‘Desire and Aversion toward moral good and evil(好善惡惡)’ are not related to feelings of personal interests HyungKi. In this case, that would not be able to have appeared in HyungKi. This is the ‘the seven Public feelings’ exactly what had he said. Therefore, he said ‘the seven Public feelings’ is not ‘the public private(私中之私)’ of Yi Ik. And it does not mean ‘the Seven feelings of a saint(聖人之七情)’. From the beginning the seven Public feelings is a sentiment arising from the principles of Xingming. Shin Hudam learned the spirit of 'Gaining self-realization(自得)' to mentor Yi Ik, and he was pursuing a theory that can practice in the real world. Therefore, Shin Hudam analyzed the theoretical basis that Four-seven of the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