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불교 공(空) 개념의 수행적 성격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Empty concept in Early Buddhism: Focusing on mental traini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04
35P 미리보기
초기불교 공(空) 개념의 수행적 성격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2호 / 209 ~ 243페이지
    · 저자명 : 박재은

    초록

    빠알리어 순냐타(suññatā)는 우리말로 ‘공’, ‘공함’ 또는 ‘공성(空性)’이라 하는데 무언가 ‘결여’되거나 ‘결핍’되어 있는 상황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공 개념은 기본적으로 수행자들을 해탈로 이끌기 위해 교설되었던 교리와 체험의 장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공 개념이 실수(實修)에 반영되고 투영된 결과, ‘공에 머물기’나 ‘공의 실현’이 교설되고 권장된다.
    초기불교 공 개념이 지닌 수행적인 성격에 대한 탐구는 단지 사색을 넘어 실제적인 차원에 대한 강조이자 본래적인 방향으로의 선회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저 공의 개념과 용례를 알아보고, 공의 실현이 담지한 의미와 그 실현 기법을 살펴본 다음, 공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수의 행법들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공을 실현하기에 앞서 공과 불공(不空)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선행 이해를 바탕으로 선정과 선정 삼매의 통찰, 매순간에 대한 분명하고 바른 앎, 대상에 대한 부작의(不作意)와 같은 행법들에 의해서 공은 실현된다. 그리고 공을 실현하는 전 과정에 있어서 ‘분명하게 알다’, ‘바르게 알다’, ‘바르게 보다’, ‘수관(隨觀)하다’, ‘관찰하다’, ‘부작의(不作意)하다’와 같은 정신적인 기법들은 지속적으로 발현 유지되기 때문에 초기불교 공 개념은 강한 실천 체험적인 성격을 가진다.

    영어초록

    The Pali word 'suññatā' means 'emptiness', 'voidness' or 'unsubstantiality'. The noun form is 'suññatā', and the adjective forms are 'suñña' or 'suññata', which are distinct in form but interchangeable in meaning. 'Emptiness', 'voidness', and 'unsubstantiality' all have the meaning of 'emptiness', 'nonexistence', 'nonpresence' or 'anattan'.
    In early Buddhism, the concept of empty performs the function and role of place of experience and the doctrine that was taught to lead the disciplinants to deliverance. As the concept of empty is reflected in training, 'suññatā viharati' or 'suññataṁ upasampajja viharati', which stay by achieving empty, is taught and recommended.
    The investigation of the training-oriented nature of the early Buddhist concept of empty can be said to be an emphasis on the actual dimension beyond just speculation as well as a turning into the original direction. Basically, the concept of empty with the meaning of 'nonexistence', 'nonpresence,' or 'absence' serves as a fundamental and important foundation for realizing empty. Before realizing empty, the understanding of 'empty' and 'non-empty (asuññatā)', which is the opposite concept of empty, should be preceded.
    On the basis of their prior understanding, 'jhāna' and 'insight' can be carried on. The realization of the other empty does not only form by the jhāna and insight, but it is also possible by methods of ‘correctly knowing,’ ‘properly knowing,’ ‘observing,’ and ‘viewing’ the various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that appear and disappear every moment in everyday life. Also, a method called 'amanasikāroti', the so-called 'not attent' method, is used.
    This is an attitude that does not immerse with interest or attention in any form that arouses sensual desire, thereby controlling sensual desire by way of turning away the attention from subjects of senses. As such, a series of mental techniques such as 'correctly knowing', 'properly knowing', 'properly seeing', 'viewing', 'observing', and 'not paying attention'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empty, so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maintai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