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0.06
26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2호 / 4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조선불교계가 일본 제국주의 이념에 동조하여 일본불교가 창안한 이른바 황도불교를 내면화하고 이론화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특히 몇 몇 불교이론의 뜻밖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당시 몇몇 불교지식인은 전통적으로 ‘불교와 전쟁’이 보인 결렬을 대단히 철학적인 불교 이론인 공(空)의 논리를 통해서 해소하려고 노력했다. 저들의 주장은 가장 불교적인 이론 가운데 하나가 가장 비불교적인 정치활동에 이용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근대시기 일본불교는 천황을 정점으로 한 일본이라는 국가의 수호를 불교의 수호로 간주했다. 이것은 천황이나 국가를 종교화한 것이며, 반대로 불교를 세속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조선에도 유사한 논리가 수용된다. 더구나 ‘국가와 개인’ 문제를 다루면서 불교의 무아설에 입각하여 개인을 무화(無化)시키고 국가나 천황을 절대시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전투에 임하는 병사에게는 공의 논리를 동원하여 삶과 죽음을 초탈한 자세를 요구한다. 이데올로기를 비롯한 온갖 망상에서 벗어나서 의식의 평화를 찾으라는 공의 논리는 이렇게 정치화하고 만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in which Korean Buddhism internalized and theorized the so-called Imperial-Way Buddhism, a.k.a. Kodo Bukyo of Japan as an attempt to align itself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doing so, this paper concentrated on analyzing certain roles of particular Buddhist theories. Some Buddhist intellectuals of Japan at that time tried to resolve the conventional rupture between Buddhism and war, by incorporating the highly philosophical Buddhist theory of Śūnyatā, that is, emptiness into something much less religious or philosophical. This could be the example in which the most typically Buddhist theory being used in non-Buddhist, political activities. Modern Japanese Buddhism considered the protection of Japanese nation that was identified with the Japanese emperor as the protection of Buddhism itself. It could be said that the state and the emperor were viewed as something religious and sacred, and in reverse, the Buddhism was becoming secularized. Similar logic was accepted in colonial Korea. In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nation and individual, the Buddhist doctrine of anatman (literally, no-self) was deployed in the way that encouraged people to negate the individual completely to serve the Japanese empire and the emperor. It went so far as to demand the soldiers who were drafted i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to transcend the question of life and death by drawing on the logic of emptiness. The Buddhist theory of emptiness that urged people to be free from any ideologies including political ideologies, for they are mere illusions, and attain spiritual peace was politicized in such man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