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의 행복론 ‘공향(共享)’ (‘GongHyang(共享, Enjoy together)’eudemonics of King Sej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08
22P 미리보기
세종의 행복론 ‘공향(共享)’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6호 / 13 ~ 34페이지
    · 저자명 : 오채원

    초록

    본 논문은 세종의 정치철학의 핵심이 ‘나눔’에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균형을 통한 조화로운 정치는 예나 지금이나 중요하며, 이러한 균형․조화는 나눔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결국 사회적 행복의 조건은 정치적 나눔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동양철학의 유기적 사유, 그리고 생명에 대한 가치체계의 수립 속에서 잘 드러난다. 이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역사적 사례를 고찰하고자, 본고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속에서 세종(世宗)이 추구한 나눔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4대 임금인 세종은 상생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생생지락(生生之樂)’을 정치적 모토로 삼았는데, 그 근저에는 ‘공향(共享)’, 곧 나눔의 정신이 자리 잡고 있었다. 세종은 이념․시대․민족․신분․지역 등이 다른 폭 넓은 대상과의 나눔을 추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때로는 자신의 기득권을 내려놓고, 상대의 삶 속에 들어가고자 하였다. 그가 보기에, 선진지식․문화․법․문자라는 권력을 일부 계층만 소유하지 않고, 다른 이들에게도 누리게 하면 모두 상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종이 국가 경영의 목표로 삼은 것은 나눔이 일상적인 사회였다. 다시 말하면, 배타적이지 않은, 국민들이 함께 나누는 행복의 추구, 즉 공향하는 생생지락으로 모두 더불어 살맛나는 나라를 만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종의 정치철학은 훈민정음 창제 등과 같은 민생 밀착형 정책으로 구현되었다.
    우리가 추구하는 정치의 본질이 사회적 행복에 맞춰져 있다면 세종의 가치는 매우 현대적이며 시급히 요청되는 것이다. 정치는 공학이 아니라 행복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정치가가 갖추어야 할 가치 및 지향점 또한 이와 같아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 전형을 세종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세종이 공학적 차원에서 어떠한 구조를 보여주었는가가 아닌, 생생의 가치를 어떻게 실현하고자 하였는가에 주목하여, 정치가 세종의 생명철학을 규명해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clarity that the core of the political philosophy of Sejong was the 'sharing'. Harmonious politics through balance is important not only in the past but also now, such balance and harmony can be realized by sharing. Eventually the social conditions of happiness are that of political sharing. These points are well evident in the organic reasons of the Eastern philosophy and the establishment of value system for life. To explore the historical practices of our ancestors for this, this paper looked into the sharing Sejong pursu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In order to implement the politics, Sejong the 4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ook 'SaengSaengJiRak(生生之樂, living of pleasure)’ as a political motto, 'GongHyang(共享, enjoy together)’, the spirit of sharing was underlying. Sejong pursed wider sharing with targets of different from such as ideology, age, ethnicity, identity and community. To do this, he tried to go into their lives with putting down his invested rights. In his view, the power of advanced knowledge, culture, law and letters are shared without owning only some layers could make every people enjoy lively. The aim of national management of Sejong for this purpose was the society that sharing is in every day. In other words, he was seeking to non-exclusive happiness, citizens sharing together happiness. As the result, the Sejong dynasty tried to build a nation living together with 'GongHyang SaengSaengJiRak', this political philosophy was implemented hyperactive local welfare policies such as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f we are aligned with the essenc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happiness to pursue, the value of Sejong is very modern and necessary. Politics is to be understood not as the engineering but as the level of happiness, also the value and orientation equipped with politicians should be the same as this. The very typical is Sejong. Thus,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life philosophy of a politician Sejong not showing the structure at the engineering level, but by focusing on how to realize the value of 'SaengSae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