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功夫選의 전개양상과 功夫十節目 (A Study on Development of Gongbuseon(功夫選) and Gongbu Sibjeolmog(功夫十節目))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10
28P 미리보기
功夫選의 전개양상과 功夫十節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41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功夫選은 親政을 선언해서 辛旽과 거리를 두게 된 恭愍王이, 불교계의 개편의지를 가지고 실시한 佛敎史상 유래가 없는 최대 규모의 僧科였다. 이때 懶翁이 主盟으로 임명되면서 나옹은 이후 실질적인 고려불교의 1인자 역할을 구축하게 된다. 그러므로 나옹을 이해함에 있어서 공부선의 파악은 필수적이다.
    또 功夫十節目은 본래 공부선의 판단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功夫選場에서는 시간문제가 존재하여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공부십절목은 나옹의 선사상이 가장 체계적으로 온축되어 있는 자료기 때문에 검토의 필연성을 요청받는다.
    공부십절목이라는 명칭은 蒙山의 無字十節目과 유사하지만, 구조적으로는 次第論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는 전혀 다른 관점에 의한 독창적인 것이다. 공부십절목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것은 ①∼⑤와 ⑥·⑦, 그리고 ⑧∼⑩이다. 이는 각각 선수행의 문제제기와 成熟, 그리고 이의 완성으로서의 頓悟, 끝으로 깨달음 이후의 作用과 나옹 선사상의 목적이다.
    나옹은 공부십절목을 단순히 혼자서 창안한 것이 아니라, 禪門의 前說과 당시의 일반론에 근거해서 만들었다. 그럼에도 공부십절목이 주목될 수 있는 것은, 중국선불교를 蒙山 등에서 일부 확인되는 구조화 노력을 넘어서는 선수행의 체계화가 살펴지기 때문이다. 이는 나옹이 당시의 선불교에 안주하지 않고 개혁을 통해서 선의 정신을 새롭게 창도하려고 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즉 공부십절목에는 중국의 선불교를 넘어서려는, 고려 선불교의 정신이 온축되어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Gongbuseon(功夫選) was the first and greatest examination for monks in the Buddhist history. It was held by King Gongmin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when he got alienated from Monk Sindon(辛旽) since his proclamation of direct government. At this time, Naong(懶翁) was appointed as the hosting manager of the exam and since then became the actual leader of Goryeo Buddhism. Therefore, the comprehension of Gongbuseon is very necessary in understanding Naong.
    And Gongbu Sibjeolmog(功夫十節目) was originally made as the critical standard for Gongbuseon, it was not used in the exam because of time problem. But, it is necessary to review Gongbu Sibjeolmog, for it is the material that summarizes Naong’s Zen idea most systematically.
    The title of Gongbu Sibjeolmog is similar to Muja Sibjeolmog(無字十節目) of Mongsan(蒙山). But, as it is composed of Chajeron(次第論) in its structure, the two are very original with different viewpoints. Gongbu Sibjeolmo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3 stages: ①∼⑤, ⑥·⑦, and ⑧∼⑩. Each of these stages deals with the problem suggestion of Zen discipline and its maturation; Dono(頓悟, enlightenment) as its completion; finally, the function after the enlightenment and the purpose of Naong’s Zen idea.
    Naong did not created Gongbu Sibjeolmog by himself, but made it up on the basis of precedent Zen ideas and contemporary general theories. Despite it, Gongbu Sibjeolmog has been noticed because its systemization of Zen discipline is transcending the structuring effort of Chinese Zen Buddhism that can be partly seen in Mongsan(蒙山) or so. We can interpret this as Naong was not idly satisfied with the contemporary Zen Buddhism but tried to create a new Zen idea through the reformation. That is, Gongbu Sibjeolmog was a condensation of Goryeo Zen idea that tried to overcome Chinese Ze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