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정상군·위험군의 식습관과 식품섭취 관련요인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Habits and Bone Density Risk Factors between Normal and Risk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8.02
9P 미리보기
서울지역 성인여성의 골밀도 정상군·위험군의 식습관과 식품섭취 관련요인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3권 / 1호 / 125 ~ 133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숙, 구재옥

    초록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중인 서울지역여성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본부(서울) 여성 교직원 19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6년 4~5월에 골밀도 측정기인 EXA3000(Dual X-Ray방식의 골밀도 측정기)으로 손과 발목의 골 밀도를 측정하여 평균 T-score가 -1.0 이상을 정상군, -1.0 이하를 위험군으로 분류한 후 신체계측(체성분기), 생활습관 및 식습관, 건강상태를 포함한 설문조사와 식품섭취빈도조사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골밀도에 따른 골밀도에 있어서 정상군의 평균 T-score 는 0.04 ± 0.74이고, 평균 BMD는 0.49 ± 0.05 g/cm2 이며, 위험군의 평균 T-score는 -1.51 ± 0.48이고, 평균 BMD는 0.39 ± 0.03 g/cm2 로 나타났다.
    2)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치에 따른 정상군과 위험군의 분포는 신장, 체중, BMI, 체수분, 근육량, 제지방량,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등이 정상군이 위험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신장(p < 0.05)은 정상군이 161.40 cm, 위험군이 159.45 cm였고, 체중(p < 0.001)은 각각59.31 kg, 54.02 kg였으며, 조사대상자의 BMI(p < 0.01) 는 정상군이 22.82 kg/m2 , 위험군이 21.26 kg/m2 으로서정상군이 유의적으로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3)조사대상자의 정상군과 위험군간의 건강관련행태비교에 있어서 정상군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고 위험군은 질병이 있다는 비율이 높았다. 정상군이 걷는 시간이길수록,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p < 0.05).
    4)정상군과 위험군간의 식습관비교를 보면 정상군은 ‘아침식사를 한다’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정상군은 간식횟수나 외식횟수도 많았다.
    5)식품섭취빈도비교해보면 정상군이 위험군보다 참치, 오징어, 무우, 무청, 오이, 당근, 포도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높은 경향이었고, 멸치와 우유의 섭취빈도가 높았다.
    6)골밀도와 관련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신장, 체중, 체수분, 근육량, 제지방량,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체지방량, 연령, 운동횟수, 주관적 건강상태, 멸치, 무, 무청, 당근, 호박, 토마토 등의 섭취빈도와 아침식사여부 등이 유의적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하여 위에서 지적한 건강한생활습관과 식습관을 형성할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신장, 체중, BMI, 체수분, 근육량, 제지방량,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등이 정상군이 높게나타났고, 자신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있어서 건강하다로갈수록 정상군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걷는시간이 길수록,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정상군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군이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았다.
    골밀도와 식품섭취빈도의 상관관계에서 멸치, 무, 무청, 당근, 호박, 토마토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bone density risk factors affecting women's BM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ge, lifestyle and dietary habits for bone health by physical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risk groups, BMD, height, weight, BMI, total body water, soft lean mass, fat free mass, protein, mineral, body-fat of normal group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risk group. The breakfast eating rate of the normal group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risk group, walking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and exercise was more (p < 0.05). The normal group had more frequent intakes of tunas, squid, radishes, the green parts of radish, cucumbers, carrots and Iucchinis, tomatoes, and grapes than the risk group (p < 0.01 or p < 0.05). In conclusion, breakfast eating, exercise, intakes of some foods such as anchovies, radishes, carrots, zucchinis and tomatoes were significantly important factor to prevent bone density risk.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1) : 125~133, 20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