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산 임당유적 G지구 출토 인골의 親緣 系統樹에 대하여 (Analysis of the Phylogenetic tree of Human Bones Taken from the Ancient Site G place in Yimdang-dong, Gyeongsa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4
34P 미리보기
경산 임당유적 G지구 출토 인골의 親緣 系統樹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4호 / 159 ~ 192페이지
    · 저자명 : 정상수

    초록

    우리나라 고고유적의 발굴조사에서 인골이 출토된 예는 영성(零星)하며, 출토된 인골을 이용한 연구 또한 미미한 편이다. 본고는 경산 임당유적 G지구에서 출토된 인골 보고와 국립문화재연구소의 mitochondria DNA(mtDNA) 분석 결과를 근거로 모계 친연 관련성(母系 親緣 關聯性)을 알아보았다.
    임당유적의 G지구에서 출토된 인골 중 분석한 결과 14개체의 모계 친연 관련성을 따지면 G-10집단과 G-18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G-18집단이 G-10집단 사이의 좁은 면적을 묘역으로 이용하였다.
    G지구 내에서 묘가 가장 크고, 부장품이 많이 있는 5・6호묘가 모두 G-18집단에 속하는 점으로 보아 이 묘가 축조될 4세기 말에 G-18집단의 경제력을 포함한 세력이 G-10집단보다 우월했음을 알려 준다.
    모계 친연 관련성을 추정하면 G-18집단의 18호, 5호, 6호, 8호는 모두 남성이며, 연령 감정 결과 성인 이상이고, 묘의 축조시기로 보아도 20~30년 정도 차이가 있다. 5・6호의 연령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증)조부에서 손자 사이에 해당되는 친연 관련성이 있다.
    또 G-10집단의 7개체(10・3・13・20・14・17・21호) 중 14호묘는 1세기말에 조성된 묘로 이 집단의 친연 관련에서 가장 앞서는 묘임은 확실하다. G-10집단은 3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여성에 성인 이상의 연령으로 G지구의 여러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4세기 전기에 13호가, 5세기 중기 전후에 10・3・17・21호와 모계 친연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같은 묘역에 있는 8・10호묘, 13・18호묘 중 8・10호와 13・18호는 묘의 축조시기가 비슷하고, 모계 친연 관련성에서 각각 G-10집단과 G-18집단에 해당되는 점으로 보아 이들과 관련된 후손의 계통수가 관찰되지 않지만 어떤 친연 관련성(부계로 누이・혼인 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17호가 같은 묘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13호와 모계로 친연 관련성이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17호는 모계 후손일 수 있다.
    임당유적의 착장유물로 본 성별과 유구배치 양상(남자 남측, 여자 북측)과 비교할 때 8・10호는 이 유구배치 양상과 다르며, 13・18호는 18호의 출토 유물로 보아 남성으로 추정되어 이와 동일한 배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임당 G지구는 5세기 중기 이전에 묘의 장축방향이 등고선과 평행되게 묘를 축조하다가 어떤 이유(경제적, 인구적, 종교적, 사회적 사상적 등)인지 모르지만 5세기 중기이후부터는 등고선과 직교한 장축의 묘를 조성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G-10집단의 20호묘는 축조된 유구와 출토된 유물에서 이 유구의 축조시기를 명확히 알 수 없지만 5세기 중기 이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Digging human bones from ancient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is rare, and analysis of human bones is unusual. This essay investigated matrilineal kinship based on the reports on human bones from the G place in Yimdang, Gyeongsan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mitochondria DNA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f Korea.
    The evaluation of 14 sets of human bones from the G place in Yimdang showed that the tomb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G-10 mass and the G-18 mass via their matrilineal kinship, and the G-18 mass used the narrower area as a graveyard compared to the G-10 mass.
    Considering that tombs 5 and 6, which are the biggest tombs with many burial goods in the G place, belong to the G-18 mass, it can be said that the G-18 mass was more predominant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when the graves were constructed.
    Inferring from their matrilineal kinship, tombs 18, 5, 6, and 8 were tombs for male adults, and their construction had a time gap of 20-30 years. Although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how old tombs 5 and 6 are, they probably have a (great) grandfather and grandson genealogical kinship.
    Tomb 14 of the seven tombs of the G-10 mass (tombs 10, 3, 13, 20, 14, 17, and 21) was built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preceding the other tombs according to matrilineal kinship. The G-10 mass comprises tombs for female adults, except for tomb 3, and is located in the G pla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atrilineal kinship between tomb 13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entury and tombs 10, 3, 17, 21 before or after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Tombs 8 and 10 belong to the same graveyard, as do tombs 13 and 18. Tombs 8 and 10 were built at similar times, as were tombs 13 and 18. According to their matrilineal kinship, they belong to the G-10 mass and the G-18 mass.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ir kinship (as sisters on the paternal side or by marriage) cannot be disregarded, although no phylogenetic tree of descendants was observed. Considering that tomb 17 belongs to the same graveyard and has matrilineal kinship with tomb 13, it could have descended from the maternal side.
    Male tombs are usually arranged facing south, while female tombs face north. However, tomb 8 and 10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arrangement. Tombs 13 and 18 are assumed to be for males based on the unearthed relics from tomb 18, and are arranged facing south.
    The tombs in the G place, Yimdang were constructed parallel to the contour line before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after which they lay at right angles to the contour line. From this viewpoint, tomb 20 from the G-10 mass could have been built after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although it is uncertain when it was built in terms of the tombs and unearthed rel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