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폐경 후 골밀도 저하 여성의 골밀도와 식생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Dietary risk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4.10
10P 미리보기
폐경 후 골밀도 저하 여성의 골밀도와 식생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9권 / 5호 / 644 ~ 65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손숙미

    초록

    본 연구는 폐경후 골밀도가 저하된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들은 골밀도를 검사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클리닉을 방문한 여성으로 163명으로 구성되었다. 잘 훈련된영양사가 인터뷰에 의하여 골다공증과 관련된 임상적 증상과 칼슘과 칼륨의 주요 급원식품으로 잘 알려진 식품의 섭취량, 칼슘 섭취와 관련된 식이행동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66.9세이었으며, 대상자의 85% 가 미취학이거나 초등학교 졸업의 학력이라고 답하였다. 대상자의 대부분(84%)의 가구당 수입은 100만원이하였다.
    평균 초경연령은 17.2세, 평균 폐경나이는 48세이었으며, 평균 폐경기간은 18.7년 이었다.
    2) 대상자들의 칼슘 보충제 섭취율은 16.7%이었으며 칼슘 보충제로부터 섭취하는 칼 슘섭취량은 51.3 mg/일이었다. 운동 실시 비율은 43.8%로 비교적 늦었으며 가벼운 운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3) 대상자의 골격 senility에 따른 임상증세로는‘오랜시간 동안 서 있기가 힘드십니까?’라는 문항에‘늘 혹은 가끔 그렇다’라고 대답한 사람이 84.5%로 가장 높았으며‘허리의 통증이나 일의 지장 유무’에는 76.1%의 사람들이‘늘혹은 가끔 그렇다’라고 대답하여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보였으며 그밖에도‘신체의 쑤심이나 저림여부’ 문항에는72.3%가‘늘 혹은 가끔 그렇다’라고 대답하여 대부분의대상자들이 임상증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식품군중 대상자들의 칼슘 섭취량에 가장 많이 공헌하고 있는 군은 채소군이었으며(153.2 mg) 다음이 우유및 유제품군(115.8 mg), 생선류(81.1 mg), 두류(39.2 mg), 해조 류(31.6 mg) 등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칼슘 섭취량에 가장 많이 기여한 식품은 우유, 우거지, 참깨, 멸치, 배추김치, 명태, 두부 등의 순이었다.
    5) 신장, 학력수준은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나이, 초경연령, 폐경기간, 자녀수는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쌀의 섭취량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대두, 무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쌀로부터 섭취하는칼륨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미역, 콩나물로부터 섭취하는 칼슘과 돼지고기 로스구이로부터 섭취하는 단백질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단계별 회귀분석결과 비식이적 요인으로서는 연령이가장 강한 음의 지표였으며 그 다음이 초경연령, 학력이었다. 즉 연령이 1세 증가할수록 골밀도의 T 값은 0.051 감소하였고 초경연령이 1세 늦을수록 0.138 감소하였으며학력수준이 1단계 높아질수록 0.234 증가하였다. 대두 섭취량은 골밀도에 양의 지표로 나타났으며 특히 로스구 이단백질 섭취량은 양의 지료로, 쌀밥의 칼륨은 음의 지표로나타났다. 연령, 초경연령, 학력, 무와 대두섭취량, 로스구이 단백질 섭취량, 쌀밥 칼륨 섭취량, 미역 칼슘 섭취량을 다중회귀분석 모형에 포함한 결과 골밀도 총 변동중의 30% 가 이들 변수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상으로 보아 학력과 소득수준이 낮은 폐경후 여성의 경우 미역, 무, 콩 등의 비교적 값이 싼 식품의 소비량이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므로 이러한 식품들을 우유와 유제품의 섭취가 낮은이들 계층에 골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대체 식품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연구의 경우 대상자가 병원에 내외한 골밀도가 저하된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상군과의 비교를 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또한본 연구에서는 전체식품보다는 개별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영양소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향후에는 factor analysis 나 cluster analysis를 이용하여 식사패턴에 따른 골밀도의분석이 요망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bone the mineral density (BMD)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decreased BMD. The subjects (N = 163) were recruited from women who visited a orthopedic clinic for BMD check up. A trained dietition interviewed subjects individually to obtain data about dietary behavior,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s known as main dietary source of calcium and potassium, and clinical symptoms.
    The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6.8 years. Most of them showed low levels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e mean age of menarche and menopause were 17.2 and 48 year, respectively. The mean menopause duration was 18.7 year. Most of the consumption of calcium was centered to vegetable foods. Education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0.272, p < 0.05) with BMD whereas age, menarch age, menopause duration, number of children were negatively correlated (r = -0.355, r = -0.240, r = -0.283, r = -0.193,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The consumption of soybean, radi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0.187, r = 0.158,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Potassium intake with ri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BMD (r = -0.189, p < 0.05), but calcium intake with brown seaweeds, bean sprou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 0.247, r = 0.254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Protein intake with roasted pork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r = 0.216, p < 0.05) with BM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prominent negative predictor influencing the BMD was age. Minor nega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MI were age of menarche, potassium intake from rice. But the significantly positively factors influencing the BMD were consumption of radish and soybean intake, education, and protein intake with roasted pork. In conclusion brown seaweeds, radish or soybeans can be promoted as cheap foods replacing milk and milk products for menopausal women with low incom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 : 644 ~ 653, 200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