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弼履 家와 인왕산 洗心臺, 공간의 일고찰 -李顯坤의 山天齋와 鄭敾의 「山天齋圖」를 포함하여- (A Review of Space: Park Pil-li’s family and Sesimdae of Mt. Inwang -Including 「Sancheonjedo」 painted by Gyeomjae Jeong Seonand Sancheonje of Lee Hyeon-g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7
42P 미리보기
朴弼履 家와 인왕산 洗心臺, 공간의 일고찰 -李顯坤의 山天齋와 鄭敾의 「山天齋圖」를 포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4권 / 213 ~ 254페이지
    · 저자명 : 방현아

    초록

    본고는 18세기 문예부흥기의 핫 플레이스인 인왕산 주변 공간을 고찰하고 그곳에 살았던 한 집안의 인물들의 공간향유 양상을 살핀 글이다. 세심대는 정조가 매년 3월 경복궁 북서쪽의 毓祥宮과 延祜宮, 선희궁에 참배하고 사도세자를 그리워하며 신하들과 올라가 술과 음식을 내리고 꽃구경, 시 짓기, 활쏘기로 쉬던 곳이었다. 또한, 오래전 그곳의 정자와 누대는 이향성의 소유였다가 18세기에 들어와 박필리가 세심대 아래 집을 짓고 살았다. 박필리의 아들 박사석과 손자 박윤원, 박준원은 그곳을 세거지로 삼아 오래도록 향유하였다. 이들의 공간향유는 세 가지 양상을 보인다.
    첫째, 박필리는 인왕산 아래 집을 짓고 은거지인 考槃으로 삼아 학문과 은거의 장소[衡泌薖軸之所]로 삼았다. 둘째, 윤원과 준원 형제는 한유의 ‘某水某丘, 童子時所遊’라는 글을 인용하여 어린 시절의 추억의 소환처로 삼았다. 셋째, 박사석과 박준원은 詩와 文을 통해 정선의 繪畫와 소통하며 문예를 향유하는 공간으로 삼았다. 또한, 박필리의 사위인 이현곤의 山天齋는 특기할 문예 공간으로, 『周易』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정선의 「山天齋圖」(1753)에 남겨지게 되었다. 이현곤은 당시의 경기도 광주 궁촌에 독서처인 산천재를 소유하였고, 정선은 그곳에서 3일을 유하며 그리운 마음과 학문적 열정을 회화로 표현하였다. 산천재는 산속에 하늘이 담긴 집이라는 뜻으로 尙古함으로 덕을 쌓고 창조적인 학문의 힘을 키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본고는 문예 공간으로 이름난 인왕산 자락의 세심대와 그 주변에 거주했던 박필리 家와 쌍봉의 산천재의 위치를 고찰하였다. 특히 이현곤의 생몰 연도를 수정하고 산천재는 이현곤이 살았던 宮村 근처 쌍봉 자락인 지금의 강남구 대모산 일대임을 상정하였다. 이처럼 공간은 회화, 문학, 학문 등과 접목된 문예의 배경으로 좀 더 확장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pace around Mt. Inwang, a hot place during the literary revival in the 18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space enjoyment by the literari who lived there. Sesimdae is the place that Jeongjo used to climb every March missing his father, the late Crown Prince Sado, after visiting Yuksanggung, Yeonhuigung and Seonhuigung. It was a place where the king threw a feast to his servants, to take a rest for flower-viewing, archery, or composition of poems. Long before, the space of this pavilion and tower owned by Lee Hyang-seong; in the 18th century, Pak Pil-li built his residence below the cliff Sesimdae to live there. Afterward Park’s son Park Sa-seok, with his two sons, Yun-won and Jun-won, settled down there to enjoy the residence for a long time. Their space enjoyment features three aspects.
    First, Pak Pil-li built a residence at the foot of Mt. Inwang and used it as a study and a retreat(goban考槃). Second, brothers Park Yun-won and Jun-won used it as a space to summon their childhood memories, following Han Yu’s words: ‘某水某丘, 童子時所遊.’ Third, there is a context of communication through Jeong Seon's painting and the poems and writings by Park Sa-seok and Jun-won. In addition, Sancheonjae of Park Pil-li's son-in-law, Lee Hyeon-gon, is a literary space to be noted, and it contains the meaning of 『Juyeok(周易)』 and was left in Jeong Seon's Sancheonjaedo(1753). Lee Hyeon-gon owned Sancheonjae, a reading center in Gungchon, Gwangju, Gyeonggi-do at the time, and Jeong Seon stayed 3days and expressed his nostalgic mind and academic passion through painting. Sancheonjae means a house containing the sky in the mountains, and it contains the meaning of building virtue and developing the power of creative learning.
    This paper is about Sesimdae at the foot of Mt. Inwang, famous for its literary space, and Park Pil-li’s family, who lived in the vicinity, The location of Sancheonjae and Ssangbong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year of birth and death of Lee Hyun-gon was corrected and Sancheonjae was assumed to be the current Daemosan Mt. in Gangnam-gu, at the foot of Ssangbong near Lee Hyeon-gon lived. As such, the space serves as a background for literary arts combined with painting, literature, and studies. It has an extended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