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이병곤李炳鯤의 질병과 한의학 치료 —『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1906~1948)를 중심으로 (Japanese colonial era Disease and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Lee Byung-gon, Miryang-gun, Gyeongsangnam-d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3
3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이병곤李炳鯤의 질병과 한의학 치료 —『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1906~1948)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0호 / 299 ~ 331페이지
    · 저자명 : 손경희

    초록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경남 밀양군 부북면에 세거하였던 여주 이씨 집안의 일기인 『퇴수재일기退修齋日記』(1906~1948)를 통해 퇴수재退修齋 이병곤李炳鯤 의 질병과 치료를 분석하였다. 『퇴수재일기』는 이병곤이 1906부터 1948까지 약 42년간 쓴 일기로 날씨, 농업경영, 학교 운영, 교육, 관혼상제, 지방사회의 시국에 대한 견문, 식민정책, 질병, 치료, 전염병 등 다양한 내용이 들어 있다.
    일제강점기 농촌지역이었던 경남 밀양군은 경부철도 정차역과 낙동강을 통한 비옥한 토지 등으로 일제 초기부터 일본인의 이주가 많았다. 그 결과1910년대 초부터 밀양군에는 일본인 의사가 개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관립·공립 병원은 1930년대 후반에 설립된다. 일제는 의료 공백을 메우기위해 의생과 공의를 두었다. 밀양군의 의료기관 중 한의학치료를 담당하던의생이 가장 많았다.
    『퇴수재일기』속 이병곤과 그의 주변 인물들은 여러 질병에 한의학치료, 근대병원치료, 민간치료, 미신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가운데가장 많이 사용한 치료법은 한의학이었다. 1906~1932년 사이 이병곤은 밀양읍내 뿐만 아니라 인근 부산, 대구, 영천의 이름난 의원과 의생을 총동원하여질병에 대응하였다. 근대병원치료는 치과와 외과적인 처치가 필요할 때만받았다. 이병곤은 자신의 병에는 미신치료를 하지 않았지만 어머니의 병에는칠성에게 기도하였다.
    1939~1948년 사이 이병곤의 질병 치료에는 세 가지 특징이 있었다. 첫째, 일제 말 전시체제기 한약재의 부족 현상이 심하여 약을 짓기가 어려웠다.
    둘째, 한의학에 대한 조예가 상당하여 『동의보감』·『제중신편濟衆新編』·『방약합편方藥合編』 등의 의서를 참고하여 직접 치료법을 찾았다. 셋째, 자신의 질병에 대해 기록 해 두었다가 활용하였다.
    밀양군에는 말라리아, 콜레라, 천연두, 성홍열, 적리, 장티푸스 등의 전염병이 발생했다. 밀양군에서는 방역사무소를 설치하고, 예방 주사 증명 유무를확인했다. 밀양청년회에서 일방역회一方疫會를 조직하고, 자위단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as analyzed through the diary of the Yeoju Lee family, which lived in Bubuk-myeon, Miryang-gun, Gyeongsangnam-do, Japanese colonial era (1906~1948). Toesujae Diary is a diary written by Toesujae Lee Byung-gon for about 42 years from 1906 to 1948, and contains various contents such as weather, agricultural management, school management, education, ceremonial occasion, knowledge of local society, colonial policy, disease, treatment, and infectious diseases.
    Miryang-gun, Gyeongsangnam-do, which was a rural area in Japanese colonial era, has had a lot of Japanese migration since the early days of Japanese colonial rule due to the station of Gyeongbu Railway and fertile land through the Nakdonggang River. As a result, Japanese doctors have been opening in Miryang-gun since the early 1910s.
    However, government and public hospitals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1930s.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de medical treatment and righteousness to fill the medical gap. Among the medical institutions in Miryang-gun, medical students who were in charge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ere the most.
    Lee Byung-gon and the people around him in the “Toesujae Diary” used various methods such as oriental medicine treatment, modern hospital treatment, folk treatment, and superstition treatment for various diseases.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used treatment was oriental medicine treatment. Between 1906 and 1932, Lee Byung-gon responded to the disease by mobilizing all famous clinics and medical students not only in Miryang-eup but also in nearby Busan, Daegu, and Yeongcheon. Modern hospital treatment was received only when dental and surgical treatment were needed. Lee Byung-gon did not provide superstitious treatment for his illness, but prayed to Chil-seong for his mother’s illness.
    Between 1939 and 1948, disease treatment had three characteristics. First, it was difficult to make medicine due to the severe shortage of herbal medicines during the wartime perio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due to the considerable knowledge of oriental medicine, he found a cure himself by referring to medical books such as Donguibogam, Jejungsinpyeon, and Bangjapyeon. Third, he recorded and used his diseas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malaria, cholera, smallpox, scarlet fever, Jeokri, and typhoid occurred in Miryang-gun. Miryang-gun established a quarantine office and checked whether there was a proof of vaccination. The Miryang Youth Association organized a daily quarantine association and organized a self-defense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