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사정권 시기 금지곡의 선율적 특성에 관한 연구: 왜색가요로 분류된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Prohibited Songs during the Military Regim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군사정권 시기 금지곡의 선율적 특성에 관한 연구: 왜색가요로 분류된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학학회
    · 수록지 정보 : 音.樂.學 / 29권 / 1호 / 43 ~ 70페이지
    · 저자명 : 박기선

    초록

    본고는 박정희 군사정권 시기의 가요 금지곡 중에서 왜색가요로 분류된 노래들에 관한 분석이다. 일본에서 유입된 ‘요나누키(또는 미야코부시) 음계(주로 단음계)’가 왜색을 상징하는 낙인으로서 기능했을 가능성에 이 논문은 문제를 제기한다. 연구자는 이른바 왜색이라는 사유로 금지된 가요들이 과연 요나누키 음계로 이루어져 있는지, 그리고 요나누키 음계가 아님에도 전통적인 음계와의 유사성으로 인해 오인되었던 부분들은 없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 시기의 금지곡들을 분석하였다. 박정희는 쿠데타로 집권한 자신의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의 정권은 한일수교 이후 발생한 국민의 반일 감정을 달래기 위해 금지곡들을 활용했던 측면이 강하다. 즉, 이 시기의 대중가요에 대한 정책은 선전ㆍ선동을 위한 중요한 매체로 활용되었고, 그는 정권 유지를 위해 건전가요를 장려했으며, 통치이념에 부합하지 않은 금지곡은 배제되었다. 이러한 행적은 박정희의 친일 이력과 무관하지 않으며 ‘금지곡 지정행위’는 박정희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것이었다고볼 여지가 있다. 연구자는 박정희 정권의 왜색금지가 이념이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가정하고 여기서 나타난 심의기구의 금지항목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비공개 심의본’의 가사 철에 ‘곡 왜색’으로 수록된 ‘33곡’을 발췌해서 선율구조를 분석하여 전통선율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 전통음계인 ‘미야코부시 음계(요나누키 단음계)’로 만들어졌다고 문제 삼은 금지곡들이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선율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부분적으로 유사한부분을 문제 삼아 왜색이라는 낙인을 찍은 것은 과도한 정치적 행위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d songs that correspond to Japanese songs among the ban imposed during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This paper starts from the possibility that the Yonanuki (or Miyakobushi) scale, which some claim, functioned as a stigma symbolizing Japanese style distortion.
    The banned songs of the period were analyzed to see if the so-called Japanese style songs were made up of the Yonanuki scale, and if there were any parts that were mistaken for similarities to traditional scales even though they were not the Yonanuki scale.
    Park Jung-hee has a strong aspect of using banned songs to secure his political legitimacy in the coup and soothe the anti-Japanese sentiment that occurred since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 In other words, the policy on popular songs during this period wa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paganda, and he encouraged sound songs to maintain the regime and excluded banned songs. Such activities have relation with Park Chung-hee's pro-Japanese history, and the banned songs have been used as tool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is article assumes that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s ban on distortion is related to ideology or political situations examined the role of the review organization and the meaning of changes in prohibited items and analyzed the melody structure of 33 Japanese styled songs with traditional melod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 that banned songs were branded as Japanese style was an excessive act for political purposes and understanding of the melody structure.
    Nevertheless, it is revealed that it was an excessive political act to label as Japanese style because of partial similar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