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晦谷 曺漢英의 東遊 紀行詩 考察 –「西園錄」과 「蓮幕錄」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egok(晦谷) Cho Han-young(曺漢英)’s East Journey’s Poems –a focus 「Seowonrok」 and 「Yeonmakro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5.02
30P 미리보기
晦谷 曺漢英의 東遊 紀行詩 考察 –「西園錄」과 「蓮幕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70권 / 61 ~ 90페이지
    · 저자명 : 김효정

    초록

    본고는 晦谷 曺漢英(1608~1670) 東遊 기행시를 고찰하여 회곡의 시세계 일면과 17세기 전반 소론계 문인의 동유 기행 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진 글이다. 회곡은 1634년과 1638년~1639년 두 번에 걸쳐 동유를 체험하면서 다수의 기행시를 남겼다. 금강산을 비롯한 관동지역의 유람을 뜻하는 동유는 눈과 귀가 즐거운 여느 유람과 달리 탈속을 실행하여 자유로움을 누리는 ‘天遊’의 실행이었다. 회곡의 동유시는 형식적인 면에서 오언율시를 중심으로 창작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회곡의 동유 기행시의 표출 양상을 ‘煩惱의 해소와 仙界의 소요를 통한 心傷의 회복’, ‘다양한 興趣의 향유와 探勝의 의지’, ‘쓸쓸한 哀想의 토로와 憂國의 心想 표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634년 첫 번째 동유에서 회곡은 금강산과 관동지역의 명승지를 직접 보고 체험하며 일상의 번뇌에서 벗어나 선계의 공간에서 소요하며 ‘천유’를 실행하였고, 아름다운 관동지역의 산수 공간을 직접 체험하며 다양한 勝遊의 흥취를 만끽하였다. 또한 절경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부딪치는 힘겨운 상황들을 이겨내며 적극적으로 探勝의 의지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병자호란 직후인 1638년~1639년 강원도 도사 재임시에 이루어진 두 번째 동유는 병자호란 직후 산하를 보며 일어나는 쓸쓸한 애상과 우국의 심정을 곡진하게 표출하였는데 이는 여느 동유시에서 보기 어려운 회곡 동유시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o the poetical world of Hoegok's east journey's poem and aspects of Soron's journey to the East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Hoegok left behind several journey’s poems while experiencing two trips to the east 1634 and from 1638 to 1639. East journey, which means traveling to Mt. Geumgan and other Gwandong regions, was a practice of "Cheonyu[天遊]," enjoying freedom unworldliness, unlike pleasant trips to the eyes and ears. Hoigok's east journey’s poem is characterized by being created around Oeonyulsi[五言律詩] in terms of formality.
    Hoegok's creation patterns of east journey’s poem were divided into "relieving anguish and recovering wounds of the heart through the enjoyment of the space of the gods" "enjoyment of various pleasures and will of sightseeing" and "expression of lonely and sad hearts and minds concerned about the country." In his first east travel in 1634, Hoegok escaped from daily anguish and practiced "cheonyu" by experiencing scenic spots in Mt. Geumgang and Gwandong in the space of the gods. He also actively expressed the will of sightseeing by overcoming difficult situations he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beautiful scenery.
    However, the second journey to the east which ran from 1638 to 1639, was a journey to express the loneliness and patriotism I felt while looking at the ruined mountains right after the Byeongjahoran.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aspect of Hoegok’s east journey’s poem, which is difficult to see in other east journey’s po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