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험도(修驗道)와 노(能) -노 <다니코(谷行)>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Syugendo(修驗道) and Noh(能) Performan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8
25P 미리보기
수험도(修驗道)와 노(能) -노 &lt;다니코(谷行)&gt;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3호 / 37 ~ 61페이지
    · 저자명 : 김현욱

    초록

    노(能)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연극으로 불교, 신도(神道), 수험도(修驗道)와 같은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성립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세시대에 널리 확산되어 있던 수험도로부터 받은 영향은 현저하다. 수험도라는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성립한 대표적인 노가 <다니코(谷行)>이다. <다니코>의 내용 분석을 통해 중세의 수험문화, 특히 산악수행자인 야마부시(山伏)의 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곡이 갖는 가치는 매우 크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의 <다니코>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야마부시의 수행에 초점을 두고 수험도의 세계관이 노에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극화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시에 다니코에 있어서의 아쟈리와 동자의 관계에 착목하여 중세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치고(稚児)문화의 투영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노<다니코>는 소년 와카마츠(若松)가 어머니의 병환치유를 위해 스승을 쫓아 가즈라키산(葛城山)에 입산하여 수행하던 차에 병에 걸리자, 야마부시 일행에 의해 ‘다니코(谷行)’를 당하게 되었지만, 결국에는 야마부시 일행의 기도로 다시 소생한다는 이야기이다. 다니코는 병든 수행자를 계곡에 던지고 그 위에 토사나 돌을 덮어 산채로 매장하는 형법을 말한다. 노<다니코>의 제목도 바로 이 수험도의 형법에서 유래한 것이다.<다니코>는 수험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야마부시의 수행과 행법·와카마츠의 효심·치고 문화 등을 크로스 시키면서 일본중세의 사회문화의 특징을 조화롭게 담아낸 작품이다. 가혹한 형법을 소재로 하여 난행과 고행의 연속인 야마부시의 입산수행의 어려움을 리얼하게 표현하고 있어 당시의 입산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수험도의 본질인 입산수행은 생명의 재생,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며, 심산에서의 고행을 통해 새로운 탄생에 이른다고 관념되어 왔다. 이러한 수험도를 이끌어 온 것은 산악수행에 의해 신령스런 힘을 획득한 야마부시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활동은 산에 한정되지 않고, 사토(里)에 있어서의 서민의 신앙과도 깊게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험도는 일본의 민속·문화의 특징을 찾는데 있어서 불가결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혹한 다니코 형법에 의해 자칫 유쾌하지 않은 인상으로 끝나버릴 작품이었지만, 소생이라는 대반전을 통해 효심에 의한 미담을 담은 노로 분위기가 전환되었다. 작가가 설정한 와카마츠의 소생이라는 극적효과는 본래 수험도가 본질적으로 추구하고 있었던 재탄생의 구조에서 힌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제까지 노<다니코>에 있어서의 스승 아쟈리와 와카마츠의 관계를 치고 문화와 관련시켜 지적한 논문은 없었다. 이 작품의 어느 부분에서도 ‘치고’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지만, 중세의 관객들은 당시에 만연했던 치고 문화에 대한 이해 하에 아쟈리와 와카마츠가 치고 관계라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노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문화의 기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Noh(能) performance is a traditional drama that represents Japan. The Noh performance was approved in the background of religious thought such as Shintoism(神道), Buddhisms(佛敎), and Syugendo(修驗道). Especially, the influence from Shugendo is large. Shugendo was active in the Middle Ages. Especially, the influence from Shugendo is large. Shugendo was active in the Middle Ages. The Noh <Tainiko(谷行)> was approved while receiving a large influence from Shugendo. It can know the feature of the Shugen(修驗) culture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aniko>. Moreover, the appearance of the training of ‘Yamabusi(山伏)’ can be seen. “Yamabusi” has not been paid to attention up to now in the research of <Taniko>. And, the focus was appropriated to Yamabusi and it researched in this text. Moreover, the problem of “Chigo(稚子)” is thought through <Taniko>. “Chigo culture” was general in the Middle Ages. It is thought that “Chigo culture” is reflected in <Taniko>.
    <Taniko> is an Noh performance for the boy named ‘Wakamatsu’ to enter the mountain and to train. It is because mother's sickness was cured. However, the boy gets sick while it is training. It was dropped to the valley according to the law of Shugendo, and it died. However, it revives by the Yamabusi's prayers. ‘Taniko’ is to drop to the valley and to bury it when the Yamabusi gets sick while lived. The title of the Noh <Taniko> originated in here. <Taniko> has elements of history, content of training of Shugendo, “Filial piety”, and the Chigo culture, etc. These are features of the culture in the Middle Ages. It is not only a sad content though this is a content of the cruel remainder. It is because of the revival though waited rapidly at the end. As for <Taniko> the difficulty of training is drawn in the round, and the appearance of the training at that time is understood well.
    The essence of Shugendo is to train in the mountain. Supernatural power can be obtained through training. Moreover, it was thought that it was able to be newly reborn through training. The leading part of Shugendo is an Yamabusi. The Yamabusi took an active part in not only the mountain but also the village. The Yamabusi is ordinary people's lives and because the relation is deep, an important factor it knows the folk customs of Japan.
    The word ‘Chigo’ is not written in <Taniko>. However, a spectator at that time is ‘Chigo’ Wakamatsu and is already sure to have understood ‘Chigo’. Because everyone knew the Chigo culture in the Middle Ages. A religion at that time and knowledge of the society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lay of Nho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