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谷 李圭晙의 詩文을 통해서 본 학문과 현실인식 (Academic recognition and reality reflected in the poems of Seok Gok Lee, GyuJu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10
28P 미리보기
石谷 李圭晙의 詩文을 통해서 본 학문과 현실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51권 / 51호 / 47 ~ 74페이지
    · 저자명 : 신상구

    초록

    이 논문은 『석곡산고』에 실린 시문을 중심으로 석곡의 삶과 학문적 지향점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석곡에 관한 논문은 지금까지 한의학계에서 주로 연구되었고, 문학ㆍ사상적인 관점으로는 연구가 거의 없다.
    석곡은 영남사림이 중심이 되는 지역에서 기호사림의 학풍을 쫓아간 인물이다. 석곡은 평생 석동재[석곡서당]에서 살았다. 석동서당에서 세상을 잊고 학문하면서 흰 구름처럼 막힘없는 삶, 흐르는 내처럼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삶을 살려고 하였다.
    석곡이 석동재에서 학문하고, 후학을 가르치면서 살았던 이유는 석곡이 바라본 세상은 행해도 이득이 없는 간신들이 들끓는 세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선의 어려운 현실은 결국 이와 기에 대한 논쟁으로 비롯된 동서붕당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석곡은 ‘도의 근원’은 외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에 있는 것이라고 하면서 행동하기 이전에 먼저 마음을 바르게 하고, 글을 쓰기 이전에 육예를 완전히 통달하고, 자신의 성품을 알기 이전에 ‘천명(天命, 왜 태어났는지’을 고민하는 것이 바른 것임을 말하였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Seokgok’s life and academic directing points, centering on poetry contained in his book, 『SeokgokSango』. He has been so far studied mainly by the oriental medicine field and few studies have been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ㆍthought. He was a figure who followed the academic trend of Gihosarim whose center was Yeongnamsarim.
    He lived in Seokdongjae[Seokgokseodang] throughout his life, where he forgot the world, absorbed in study in an endless try to live a striving life like unhindered clouds flowing in the air and ever-flowing streams. Reason why he studied in Seokdongjae, teaching next generations is that he saw the then world full of disloyal subjects hardly caring for fairness. He saw such a hard reality of Chosun Dynasty come from the East-West academic division caused by Lichi Theory.
    Insisting that ‘the source of the Way’ lies not in the exterior but in the ‘interior,’ he saw it right that his students should have their mind at right state before taking action, fully master the pen and the sword before working on writing and pursue to know the heaven’s calling(i.e. Why they are born into this world.) before knowing their own pers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