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 심신관계론에 대한 일고찰 - 朱子와 栗谷을 중심으로 - (The Theory on Confucianism of Mind & Body Rel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8
32P 미리보기
유교 심신관계론에 대한 일고찰 - 朱子와 栗谷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51호 / 135 ~ 166페이지
    · 저자명 : 임헌규

    초록

    이 논문은 인간 본성에 대한 모든 이론은 ‘인간성 일반’ 뿐만 아니라, 인간들간의 차이 및 인간 각자의 내면적 갈등, 그리고 인간들 간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해명이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유가의 인간 본성에 대한 몇 가지 전형적인 이론을 이러한 관점에서 해명함으로써 유교적 심신관계론의 특징과 의의를 대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유교의 인간 본성에 대한 전형적인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거기서 제시된 심신관계론을 해명하려는 본 논문은 우선 그러한 유가적 인간 본성론의 기원이 되는 『書經』 大禹謨의 이른바 ‘十六字心法’에서 시작하면서, 그것을 서양의 플라톤의 경우와 대비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는 ‘十六字心法’을 해설하여 ‘萬世心學의 淵源’으로 정초하고, 유가의 道統論을 수립한 朱子의 공로와 거기에 나타난 주자의 존재론 및 인간 본성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주자의 존재론은 ‘多側面一元論’ 혹은 ‘一氣體多性論’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존재론은 존재 세계를 예지계와 현상계, 혹은 정신과 물질을 二分化하는 서양철학에 발생하는 고질적인 二元論的심신관계론의 난제를 해결할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朱子의 입장을 계승하고, 이를 ‘理通氣局說’, ‘人心道心終始說’, 그리고 ‘心性情意一路說’ 등으로 정립한 율곡의 입장을 개관하였다. 그런 다음 우리는 율곡이 이러한 명제들을 통해 인간과 사물들 간의 차이, 인간들 간의 종 내적인 차이, 인간의 내면적 갈등, 그리고 인간들 간의 관계 등을 어떻게 설명하는 지를 살펴보면서, 그것을 플라톤의 입장과 대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그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s aim is to contrast confucian theory of mind and body relation & human mind & nature with western classical & modern philosophy of mind. Confucianism on mind & body relation theory is based on a monism of substrata and a pluralism of essences. This Confucian Ontology was established by Chu Hsi(朱熹) and Yulgok(栗谷).
    Chu Hsi and Yulgok's theory of mind & body relation is based on many-aspect monism.
    On Chu Hsi and Yulgok's's account, each concrete event and thing falls under two level, called LI(理) and KI(氣). mind & body are two aspects of a single event and thing. Mind as distinguished KI(氣之精爽)is difined by it's intentionality and presidency. Chu Hsi and Yulgok's theory of mind & body relation differs from the R. Descarete's theory of two substance. And Confucianism on mind & body relation theory is distinguished from phenomenalism that is represented by D. Hume or modern scientism, Because the phenomenalism or the scientism only speaks of the changeable aspect(用) of the mind, the function, but not the unchangeable aspect(體) of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