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喇嘛塔의 性格과 麻谷寺 5層石塔의 系統 (Attributes of China’s Lama Pagoda and Genealogy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System of Magok Temp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中國 喇嘛塔의 性格과 麻谷寺 5層石塔의 系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44호 / 121 ~ 146페이지
    · 저자명 : 조원창

    초록

    마곡사 5층석탑은 기단부와 탑신부, 상륜부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상륜부는 ‘금동보탑’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해당 석탑은 일명 ‘탑 위의 탑’으로 부르기도 한다. 아울러 상륜부는 전체적으로 라마탑의 형상을 띠고 있어 이의 계통이 중국 元代에 있었음을 파악케 한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 성과에 따르면 마곡사 5층석탑의 상륜부(금동보탑)는 석탑과 비교해 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욱이 금동보탑은 조선시기에 제작되어 상륜부에 올린 것으로 파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탑 위의 탑은 인도 마하보디 대탑을 비롯해 중국의 북위시기부터 꾸준히 제작되어 왔다. 그리고 상륜부는 원대에 이르러 산치탑 형태에서 라마탑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돈황石窟 제285굴 내에 그려진 원대의 벽화를 보면 마곡사 5층석탑과 매우 흡사한 탑파가 묘사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이는 마곡사 5층석탑과 같은 ‘탑 위의 탑’, 특히 상륜부가 금동보탑으로 제작된 탑파의 경우 이미 원대에 등장하였고, 그 문화가 돈황 지역에서 북경을 중심으로 한 중원지역과 고려 마곡사에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전파 과정은 결과적으로 마곡사 5층석탑의 경우 계통적 측면에서 북경의 묘응사나 호국사의 불탑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원대의 벽화로 보아 5층석탑의 탑신부와 상륜부(금동보탑)는 동 시기에 제작되었음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Magok temple five-story stone pagoda consists of a base, a body(referred to as ‘Tapsinbu’), and an upper part of the tower(referred to as ‘Sangryunbu’). Sangryunbu is also referred to as a “guilt bronze pagoda” so that the stone pagoda is often called “a pagoda on top of another”. Furthermore, as Sangrynbu features the shape of Lama pagoda, we could infer its genealogy is associated with Won Dynasty.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however, The Sangryunbu, an imperative part of a gilt bronze pagoda, of Magok temple five-story pagoda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later that the stone pagoda was. Moreover, the gilt bronze pagoda is inferred to have been produced in Chosun dynasty and then placed on the Sangryunbu.
    However, it is found that ‘a pagoda on top of another’ including Mahabodhi pagoda of India has been steadily designed and created from the times of Northern Wei in China and the style of Sangryunbu was changed from Sanchi pagoda to Lama pagoda in Won dynasty.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mural paints in the 285thunit of Donhuang stone cave designed in Won dynasty, we can see that the tower was portrayed in a very similar way as Magok temple five-story stone pagoda was shaped.
    The similarity indicates that Magok-temple five-story stone pagoda, ‘a pagoda on top of another’ particularly designed in gilt bronze for Sangrynbu, already appeared in Won dynasty, and its culture had an influence on Jungwon area centering on Beijing of Dunhuang area and Magok temple in Korea.
    These diffusion processes indicates that Magok temple five-story pagoda genealogically has nothing to do with pagodas for Myoeung temple in Beijing and Hokuk temple. Given the mural paints in Won dynasty, we infer that the body and upper parts of the five story stone pagoda was designed in a contemporary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