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甁窩 李衡祥의 城皐九曲詩에 대한 小考 (A Study on Byungwa Leehyungsang's Sunggogug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9
34P 미리보기
甁窩 李衡祥의 城皐九曲詩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9호 / 71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정희

    초록

    본고는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1653~1733) 성고구곡(城臯九曲)을 대상으로 창작된 경물시에 나타난 시를 통하여 시인의 학문과 사상의 향방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병와는 12년간의 관직생활을 그만두고, 48세 되던 해에 사직하고 영천(永川) 호연정(浩然亭)에 은거하여, 이후 30년 동안 학문과 저술활동에 전념하면서 일생을 마쳤다. 관직에 나아가서는 청렴하고 실천적인 목민관이었고, 학자로서는 성실하고 강직한 성품의 성리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은거지 주변에 주자와 퇴계의 구곡을 모방하여 성고구곡을 경영하고 생활하면서, 주자의 <무이구곡도가> 10수에 차운한 <성고구곡(城皐九曲)>, <운곡이십육영> 7수에 차운한 <성고칠탄(城皐七灘)>과 성고구곡 주변의 경관을 노래한 <구곡만팔기(九曲灣八磯)>를 창작하였다. <성고구곡> 10수는 호연정이 있는 거북바위 앞을 흐르는 시내를 따라 구곡을 설정하여 노래하였다. <성고칠탄> 7수는 성고구곡 중 일곱 곳을 각각 조양담(朝陽潭), 완화정(浣花汀), 영산호(映山湖), 조종간(朝宗澗), 옥류계(玉流溪), 함벽주(涵碧洲), 상뢰엄(想嚴瀨)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읊었다. <구곡만팔기> 8수는 구곡 주변의 물가 경치를 노래한 작품이다. 서경과 서정을 통한 탁물우의(托物寓意)의 수법으로, 자연 경관에서 드러나는 현상과 작가의 의식이 교감하여 경물을 통한 작가의 내면화가 이루어졌다.
    병와가 성고구곡을 경영하고 주자의 <무이구곡도가>에 차운한 것, 그 자체가 주자의 학문적 성취를 동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포부를 펼칠 수 없었던 정치적 현실을 피해 은거생활을 선택하였지만, 태평성대를 갈구하는 마음과 구도적(求道的) 삶의 자세가 그의 경물시에 잘 드러난다. 그가 구곡을 통하여 주자가 수양하고 학문을 닦았던 행적을 밟아가며 자연에서 도(道)를 구하려한 것은 충실한 성리학자의 자세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poems of Byungwa Leehyungsang's(甁窩 李衡祥: 1653~1733) the nine ravines of Sunggogugok(城皐九曲). Byungwa had been lived 30 years at Yeungchon(永川) with building of Hoyeunjung - it's means a pavilion of revive. During living in retirement, he concentrated his mind on pursuit of learning and literary output.
    He was a scholar of sincerity and integrity. In his Yeungyangwugeoseo, a description of temporary residence of Yeungyang, he delineated launch into and resigning from his government post.
    At this province, he was contes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Taoist Way. Thesurrounding of his residence, he created <Sunggogugok>․<Sunggochiltan>․<Gugokmanpalgi>, these articles are imitated from Toegye(退溪) and Juja(朱子)'s poems. In these poems, he described his conflict of actual world. Also he subjugated these situation.
    With putting dependence on his environments, his poems are corresponded with his consciousness and the natural features. The nature poems of nine ravines of Sunggo was described with his idealism. He desired with accomplishing from the fundamental property of human beings through filial piety and loyalty. He promoted practical morals. He emphasized practice filial piety toward whose's parents and allegiance to whose's country.
    His home of spirit was the virtual idealism. An ultimate goal of his life was unity of nature and man. It is the expression of the simple spirit of the classical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