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 李珥의 疏通的 易學觀 硏究 - 策文을 中心으로 - (A Study of YulGok Yi Yi's communicational I-Xu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03
26P 미리보기
栗谷 李珥의 疏通的 易學觀 硏究 - 策文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25호 / 197 ~ 222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栗谷의 易學을 ‘疏通’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栗谷의 易學은 宋代易學을 수용하고 자신의 ‘理氣之妙’의 논리를 접목시킨 것이다. 栗谷易學에서 ‘理氣之妙’는 서로 疏通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疏通’은 두 이질적인 요소의 疏通이라는 의미와 天과 人의 疏通이라는 보다 넓은 의미의 疏通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體用一源과 河洛象數論에서도 ‘疏通’의 논리를 적용하였다. 栗谷은 理致(理)와 現象(象)을 存在의 두 양상으로 보는 일반적인 體用一源의 논리를 수용하지만, 理와 象을 理致(理)와 實踐(踐)의 문제로 해석함으로써 ‘疏通’의 측면을 보다 강조하려고 하였다. 河洛象數論에서도 이러한 견해는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河圖」가 「洛書」가 될 수도 있고 「洛書」가「河圖」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河圖」와 「洛書」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疏通관계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栗谷易學에서 ‘疏通’의 논리는 ‘天人交與’에서 결정을 이룬다. 栗谷은 「易數策」에서 ‘天人交與之玅’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理氣之妙’를 염두에 둔 표현이다. ‘合一’이라는 표현 대신 ‘交與’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天과 人의 관계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天人交與’는 天과 人이 긴밀하게 사귐을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天의 노력보다는 人의 노력을 보다 강조한다. ‘天人交與’의 주체를 人으로 하는 것으로 人의 실천적 노력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treatise, the researcher closely examined the I-Xue(易學) compiled and edited by YulGok(栗谷) with a focus on the concept, namely Communication(疏通). I-Xue(易學) compiled by YulGok(栗谷) adopted the discourses of I-Xue(易學) or changes in the Song Dynasty of ancient China, and engrafted his own logics, dubbed Liqizhimiao(理氣之妙), thereunto. In YulGok(栗谷)’s I-Xue(易學), Liqizhimiao(理氣之妙) expresses a state of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疏通), and, at this time, Communication(疏通) encompasses not only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heterogeneous factors but also the broader meaning of Communication(疏通) that embrace the Communication(疏通)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In his theories in relation to Tiyongyiyuan(體用一源) and Heluoxiangshulun(河洛象數論), YulGok(栗谷) also applied the logic of Communication(疏通). Although YulGok(栗谷) admits the general theory that substance and function have the same source, which understands principle and phenomenon as two forms of existence, he tried to place emphasis more on the aspect of Communication(疏通) by interpreting Li(理) and Xiang(象) in terms of the issues concerned with Li(理) and Jian(踐). In his theory concerned with Magic Squares and Circles, Images and Numbers, such a standpoint is being applied likewise. By emphasizing the fact that Hetu(「河圖」) may turn out to be Luoshu(「洛書」), and vice versa, YulGok(栗谷) stressed that there are communicative relations that are required in order to communicate ideas to one another.
    In YulGok(栗谷)’s I-Xue(易學), the logic of Communication(疏通) is culminated with the discourse of Tianrenjiaoyu(天人交與). YulGok(栗谷), in his book Ishuce(易數策), uses such expression as Tianrenjiaoyuzhimiao(天人交與之玅), and, at this time, he used this expression bearing Liqizhimiao(理氣之妙) in mind. The reason for using the expression, such as Jiaoyu(交與), in lieu of Heyi(合一) is that YulGok(栗谷) tried to emphasize such relations as that heaven and humans are required for interrelated relationship. Tianrenjiaoyu(天人交與) is an expression to indica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meanwhile, however, YulGok(栗谷) puts more emphasis on human efforts than those that of heaven. The reason for introducing human as the subjective figure in the Tianrenjiaoyu(天人交與) is that YulGok(栗谷) tried to stress practical efforts of hum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