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릉 연곡면 유등리 ‘流觴臺’ 曲水路의 照明 (A Study on the Yousang-Dae Goksuro(Curve-Waterway) in Gangneung, Yungok-Myun, Yoodung Ri)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3
8P 미리보기
강릉 연곡면 유등리 ‘流觴臺’ 曲水路의 照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0권 / 1호 / 14 ~ 21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신상섭, 이정한, 허준, 박주성

    초록

    본 연구 대상인 강원도 강릉시 연곡동 유등리 뱀골 하류의 너럭바위에 새겨진 ‘유상대(流觴臺)’ 각자와 암각바둑판은 이곳이 유상곡수 놀이와 신선 풍류 행위가 이루어졌던 풍류처임을 확인시켜 준다. 3차에 걸친 정밀답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일신라 헌강왕 원년(875)에 도운(道雲)에 의해 창건되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 폐허가 되었고, 1954년에 재건된, 백운사 경내에 새겨진 ‘만월산 백운동천(萬月山 白雲洞天)’이란 암각서는 뱀골 계곡에 선도적(仙道的) 풍류와 선비문화의 전통이 면면히 스며있음을 보여주는 소중한 단서이다. 최백순이 1934년 편찬한 강릉의 읍지인 「동호승람」제2권에 인종원년(1545)을 전후하여 ‘남전현(籃田縣)의 백운사는 율곡 이이, 성제 최옥 등 명유(名儒)의 강례처(講禮處)’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공간이 유서 깊은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호승람」과 「완역 증보임영지」에 기술된 무오년, 즉 철종9년(1858) 김윤경(金潤卿)이 창건한 백운정(白雲亭)의 존재를 통해 누정 및 동천 경영의 흔적을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유상대 각자 바위 계류 건너 입석에 새겨진 ‘백운정동천(白雲亭洞天)’ 암각서는 백운정 건립 3년 뒤인 철종12년(1861)에 조성되었으며, 유상대와 매우 깊은 연관성이 있는 상징적 표식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황과 입지성을 전제로 유상대 곡수유구 흔적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유상대 주변 계류 및 암반에는 수량과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세분석(細分石)과, 유로와 잔을 가두기 위한 홈인 금배석(擒盃石)과 유배공(留盃孔)의 조탁 흔적 등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하단 암벽에서 ‘오성(午星)’이란 명기 아래 23인명의 각자를 발견하게 됨에 따라 이곳이 20C 중반까지 유상곡수연의 성격을 갖는 풍류 문화경관의 거점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공간에서는 적어도 20세기 중반까지 유상대를 중심으로 한 선비 풍류의 문화가 전승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유․불․선(儒․彿․仙)이 습합된 독특한 역사문화공간’이란 측면에서도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23인명의 정체와 유상대 각자 주체 파악 등 유상곡수 등 풍류행위를 기록한 자료 발굴 등을 통해 본 공간의 성격을 보다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록에 전해지는 암각장기판 또한 발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바, 현재 콘크리트포장 도로의 파쇄를 통한 추가 유적의 발굴 및 노선 변경 등 원형경관 회복방안 또한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e study, Yousang-Dae(流觴臺) and engraved Go broad text on the flat rock in Gangneung-si Yungok-myun Yoodung-ri Baemgol, reveals that the place was for appreciating arts like Yusang Goksu and Taoist hermit’s games. three times of detail reconnaissance survey brought about the results as follows.
    There is a the text, Manwolsan(滿月山) Baegundongcheon(白雲洞天), engraved on the rock in Baegunsa(白雲寺) that had been built by Doun at the first year of King Hungang(in 875) of the United Shilla, became in ruins in the middle of Joseon, and then was rebuilt in 1954. The text is an invaluable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tradition of Taoist hermit and Sunbee(classical scholars) culture has been generated in Baemgol Valley. According to the 2nd vol. of Donghoseungram(東湖勝覽), the chronicle of Gangneung published by Choi Baeksoon in 1934, there is a record saying that ‘Baegunsa in Namjeonhyeon is the classroom where famous teachers like Yulgok Lee Yi or Seongje Choi Ok were teaching’ that verifies the historic property of the plac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Nujeong(樓亭) and Dongcheon can be traced through Baegunjeong(白雲亭) constructed by Kim Yoonkyung(金潤卿) in Muo year, the 9th year of Cheoljong(1858) according to Donghoseungram and the completed version of Jeungboyimyoungji(增補臨瀛誌). Also, Baegundongdongcheon(白雲亭洞天), the text engraved on the standing stone across the stream from Yousang-Dae stone, was created 3 years after the Baegunjeong construction in the 12th year of Cheoljong(1861), which refers a symbolic sign closely related with Yousang-Dae. Based on this premise and circumstance, with careful studying the remains of ‘Yusang-dae’ Goksuro, we discovered that the Sebun-seok(細分石) controling the amount and the speed of moving water and the remains of furrows of Keumbae-soek(擒盃石) and Yubae-gong(留盃孔) containing water stream with cups through the mountain stream and rocks around Yusang-Dae. In addition, as 21 people’s names engraved under the statement of ‘Oh-Seong(午星)’ were discovered on the bottom of the rock, this clearly confirms that the place was one of the main cultural footholds of tasting the arts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Yu-Sang-Gok-Su-Yeon(流觴曲水宴)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t implies that the arts tasting culture of Sunbees had been inherited centering on Yusang-dae in this particular place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be studied in depth because the place is a historic and unique cultural place where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were combined togeth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dentification of 23 people as well as the writer of Yusang-Dae text should be carefully studied in depth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rough gathering data about appreciation of arts like Yusanggoksu. Likewise, we should make efforts to discover the chess board engraved on the rock described on the documents, thus we should consider to establish plans to recover the original shape of the place, for example, breaking the cement pavement of the road, additional excavation, changing the existing route, and so fou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