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瓜亭曲 創作背景과 그 時期에 대한 文獻的 考察 (A Literative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imes of composing the song of Cheongkwajeong)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2
25P 미리보기
鄭瓜亭曲 創作背景과 그 時期에 대한 文獻的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4권 / 5 ~ 29페이지
    · 저자명 : 김성진

    초록

    본고는 <정과정곡> 창작의 공간적 배경과 시간적 배경을 좀 더 명확히 밝히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정과정곡>은 작자가 밝혀져 있는 유일한 고려속요이며 향가의 모습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국시가사상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주목받아 왔다. 이는 <정과정곡> 창작의 공간적, 시간적 배경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정과정곡>은 정서의 동래 유배기에 지은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근래에 정서가 거제도에 이배된 후 역시 거제도로 유배된 의종과 재회하면서 지은 것이라는 이른바 ‘거제도창작설’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본고는 <정과정곡>과 관련 기록 그 자체에 기반해서 ‘거제도창작설’의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정과정곡>을 기록한 문헌들에 많이 등장하고 있는 문구인 ‘種瓜’ㆍ‘瓜亭’의 瓜가 갖는 전통문화에서의 상징성에 주목하여, 이것이 정서가 의종에게 조속한 해배를 요구하는 메시지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召命不至’와 ‘撫琴作歌’ 사이에 있는 乃의 기능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撫琴’과 ‘築亭’은 정서 자신이 최악의 유배지인 거제도로 이배되고, 친인척이 멸문지화 수준으로 내몰리는 상황에서 취할 행동이 아님을 밝혔다.
    이어서 거제도에 유배된 의종 앞에서 자신의 해배를 간청하는 내용의 <정과정곡>을 ‘撫琴作歌’한다는 것은 상황 논리상 있을 수 없는 주장임을 간접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가 <정과정곡>의 창작배경과 시기를 둘러싼 의문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atial and temporal background of composing Song of Cheongkwajeong. Song of Cheongkwajeong has received attention as a very important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s, because it was the only folk song in the Koryeo Dynasty and had a form of Hyang-ga. That means that the spatial and temporal background of composing Song of Cheongkwajeong should be confirmed.
    General opinion is that Song of Cheongkwajeong was composed during Cheong Seo’s exile in Dongrae. However, there was a controversy over a recent hypothesis of composing in Geoje-do, which suggested that Cheong Seo composed it when meeting the ousted and exiled king, Eu Jong, again in Geoje-do after he was deported there. This study is to contradict the hypothesis of Geoje-d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kwa’ meaning ‘cucumber’, of ‘chongkwa’, planting seeds of cucumber, and ‘Kwajeong’ meaning ‘Pavilion of Cucumber’, often shown in the documents recording Song of Cheongkwajeong, and shows that ‘kwa’ meaning ‘cucumber’, had some symbol i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a message to plead with King Eu Jong for his release. It also deals with the function of ‘nae’ meaning ‘hereby’, between ‘no arrival of royal order to return’ and ‘composing songs with a kayageum’.
    In addition, it clarifies that ‘playing the kayageum’ and ‘building a pavilion’ were not appropriate for him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he was transferred to the worst exile, Geoje-do, and that his relatives were driven nearly to the extermination of whole family. Furthermore, the logical impossibility is inferred that he sang Song of Cheongkwajeong with a kayageum, pleading with the ousted and exiled king, Eu Jong, for his releas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solve some questions over the background and times of composing Song of Cheongkwaj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