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創守之曲>과 <敬勤之曲>의 樂章史的 의미 (A Historical Meaning of Changsujigok and Gyeong'geunjigok as Akja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09
32P 미리보기
&lt;創守之曲&gt;과 &lt;敬勤之曲&gt;의 樂章史的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23호 / 233 ~ 264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창수지곡>과 <경근지곡>은 세조조 창작악장들이다. <창수지곡>에는 <용비어천가>의 구조가 재현되고 있다. 이 노래의 서사는 <용비어천가>의 서사인 ‘해동장’이나 ‘근심장’과 취지를 함께 한다. 왕업을 찬양하는 본사는 육조의 사적을 노래한 3장부터 109장까지의 내용에 해당하고, 결사는 110장부터 124장에 이르는 ‘물망장’과 ‘졸장에 부합한다. 이와 함께 <창수지곡>은 <자전지곡> 중 ‘경계지사’나 ‘군신지의’와도 취지를 함께 한다. 따라서 <창수지곡>은 <자전지곡>이나 <용비어천가>의 반복이거나 요약 제시라 할 수 있다.
    <경근지곡>은 9장으로 이루어진 연장형 악장이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앞 단계 악장으로는 <용비어천가>가 대표적이다. 신민(臣民)이 임금에게 올리는 내용의 1부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그 첫 부분의 주제어는 ‘大勇’, ‘至仁’이고, 둘째 부분의 주제어는 ‘盛德’, ‘美聲’이다. 이 부분의 핵심내용은 큰 용기와 지극한 어짐으로 천하를 평정하고 백성들을 태평하게 했다는 것과, 천하가 융성한 덕망과 아름다운 소문을 칭송할 만큼 위대한 왕업을 이룩했다는 것 등이다. 임금이 신하들에게 건네는 내용의 7, 8, 9장은 앞에 언급한 1부와 함께 악장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특히 2부의 마지막인 9장에는 이 부분의 핵심이면서 <경근지곡> 전체의 주제를 나타내는 말 ‘경근’이 나온다. 경근은 ‘경천근민’의 줄임말이고, 경천근민은 경천과 근민을 합친 개념이자 <용비어천가>의 주제로 차용된 말이기도 하다. <용비어천가>의 핵심 주제를 반복함으로써 <경근지곡>은 <자전지곡>-<용비어천가>로 이어지는 조선 초기 악장사의 중요한 맥을 잇는다. 정황 상 세조의 최측근이었던 정인지와 신숙주가 이 작품들을 제진했으리라 추측되며, 창작의도⋅창작시점⋅창작방법 등에서도 일치를 보이는 두 작품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창작 악장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Changsujigok and Gyeong'geunjigok are Joseon Dynasty's Akjang created in the reign of Sejo.
    Structure of Yongbi'eocheon'ga is represented in Changsujigok. The point of this song's prologue is same as one of Haedongjang or Geunsimjang that is Yongbi'eocheon'ga's prologue. The body of Changsujigok praising Royal achievements corresponds to from chapter 3 to chapter 109 of Yongbi'eocheon'ga, and the epilogue of Changsujigok corresponds to the last chapter of Yongbi'eocheon'ga. At the same time, the point of Changsujigok is same as one of Gyeong'gyejisa or Gunsinjieui of Jajeonjigok. Therefore, we can say that Changsujigok is a repetition or presentation summing up of Yongbi'eocheon'ga. Gyeong'geunjigok is an Akjang work produced in collaboration of 9 parts. The prior Akjang representatively like this is Yongbi'eocheon'ga. The 1st part offered to King by subject is divided into two small parts, the key words of former part are 'Daeyong[great bravery]' and 'Jiin[extreme virtue]', the 2nd part's key words are 'Seongdeog[flourishing goodness]' and Miseong[beautiful praise]. The core contents of 1st part is that the King conquered the whole country with a great bravery and extreme virtue, and that the King established a great achievement as all the people praise his flourishing goodness and beautiful praise. The 2nd part is very important in history of Akjang with the 1st part. Especially, Gyeong'geun that is a core of this part as well as the theme of the whole Gyeong'geunjigok appears in 9th chapter the last part of the 2nd. Gyeong'geun is abbreviated word of Gyeongcheon'geunmin, Gyeongcheon'geunmin is the concept of the Gyeongcheon and Geunmin put together as well as a borrowed word as theme of Yongbi'eocheon'ga. Gyeong'geunjigok connects an important coherence of Early Joseon Dynasty's Akjang(Jajeonjigok-Yongbi'eocheon'ga)with repeating the core theme of Yongbi'eocheon'ga. King Sejo was crowned in the complicated situation, made efforts to accumulate moral justification of the Royal line. Whether the King Sejo himself ordered to make it, or the subjects voluntarily make it, King was able to naturally read the meaning of encouragement and warning from these Akjang works. It is supposed that these works were made by Jeong, Inji and Shin, Sookju as one of Sejo's surroundings. We have to set a position of these two works as a representative created Akjang in t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