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와 栗谷의 性理說: 문제의식・관점・방법 (Toegye and Yulgok’s Neo-Confucianism: issue, perspecitve, and method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5
29P 미리보기
退溪와 栗谷의 性理說: 문제의식・관점・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40호 / 37 ~ 65페이지
    · 저자명 : 이상익

    초록

    퇴계설과 율곡설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 배경으로 흔히 거론되는 것은 두 사람의 시대적 배경이 달랐다는 점이다. 退・栗의 성리설을 비교할 때 시대적 배경의 차이로 인한 ‘문제의식의 차이’를 주목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다. 그런데 이와 별개로 퇴계와 율곡은 ‘인간과 세계를 다른 관점에서 파악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퇴계는 二性二情論에 입각하고 있었으며, 율곡은 一性一情論에 입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관의 차이는 세계관의 차이로 연결되고, 또한 修養論의 차이로 연결된다.
    퇴계의 理氣互發論에서 理와 氣는 ‘도덕적 본성과 이기적 본능’을 뜻하며, 理氣互發論은 결국 理氣勝負論이었다. 퇴계는 理와 氣를 서로 승부를 겨루는 관계로 규정하고, 理와 氣의 승부에서 理가 氣를 이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했는데, 이것이 理氣互發論과 敬思想의 취지였다. 율곡의 氣發理乘論에서 理와 氣는 ‘도덕적 본성과 주체적 마음’을 뜻하며, 氣發理乘이란 마음의 지각작용을 통해 인의예지의 본성이 실현된다는 뜻이었다. 율곡은 理主氣資論의 관점에서 理와 氣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규정하고, 氣가 理를 온전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했는데, 이것이 氣發理乘論과 誠思想의 취지였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held that contrasts in the events and surroundings of the period prompted Toegye and Yulgok to maintain opposing theses in their Neo-Confucianism. Although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iverse historical backgrounds might result in different perspectives, it should also be highlighted that Toegye and Yulgok held different perspectives on humans and the world. Toegye's theory can be described as dual-nature-dual-emotion, while Yulgok maintained the single-nature-single-emotion thesis, which is further tied to their divergent world views and cultivation methodology.
    Because li and ki in Toegye’s ‘li and ki mutually initiate’ (理氣互發) refer to moral nature and self-interested instinct, respectively, his ‘li and ki mutually initiate’ overlaps with what we can summarize as the ‘conflict between li and ki.’ Toegye defines that li and ki as having a competing relationship. As a result, he attempted to figure out how to promote li in order to counter ki. On the other hand, li and ki in Yulgok’s ‘ki initiates, and li is carried by ki’s initiative’ (氣發理乘) represent moral nature and independent mind, respectively. The thesis ‘ki initiates, and li is carried by ki’s initiative’ in this context means that moral nature is realized through the mind’s perceptive process. Yulgok saw li and ki’s relationship as reciprocal and sought ways to help ki to fully realize 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