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谷 李圭晙의 人心道心說 이해 (Yi Gyujun’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12
27P 미리보기
石谷 李圭晙의 人心道心說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36호 / 81 ~ 107페이지
    · 저자명 : 성호준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儒醫 石谷 李圭畯의 이기합체와 심성일물에 근거한 인심도심설에 관한 내용이다. 석곡의 인심도심설에 관한 주장을 整庵 羅欽順과 穌齋 盧守愼의 경우와 비교하여 서술하였다. 석곡의 심학이 정암과 소재의 연장선에 있다고 판단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론 석곡 스스로 그들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학문을 정립했다는 내용은 찾을 수 없지만, 문헌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면서 상당한 유사점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정암과 소재의 인심도심설의 특징은 도심과 인심을 모두 심의 이발인 정으로 이해하고 있는 朱子와 달리 ‘道心-性-未發-體’ ‘人心-情-已發-用’이라 주장한 것에 있다. 程朱學의 天理-道心 私慾-人心의 대립적 구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석곡은 도심을 미발의 천도로 인식하고 형기를 타고 이미 발하여 선악이 나누어지는 것을 인심이라고 하였다. 이는 형신합일적 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천도인 심과 혈육의 심이 둘이 아닌 하나로 이해한 것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런데 석곡이 도심과 인심의 논의에서 정암이나 소재와 다른 점이 있다. 곧 정암이나 소재는 명시적으로 ‘도심-미발-성’ ‘인심-이발-정’으로 설명한 바 있으나, 석곡의 문헌을 훑어보면 ‘도심-성’ ‘인심-정’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내용을 찾기가 쉽지 않다. 물론 정암이나 소재의 ‘도심-미발-성’ ‘인심-이발-정’으로 언급한 내용과 차이가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석곡의 인심도심에 관한 논의는 중화의 주장으로 이어진다. 석곡은 성보다는 심을 도덕적 근거로 설정하고 선악의 문제는 심이 五藏 혹은 形氣를 제어하는 지 여부에 달린 것으로 이해하였다. 심은 미발의 중 곧 도심이 되고, 심이 오장 혹은 형기를 제어하여 중절한 경우는 이발인 인심의 화(和)라고 하여 중과 화를 말하였다. 그리고 이를 一本과 萬殊로도 설명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Human mind(人心) and Moral mind(道心) of Yi Gyujun(李圭畯)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theory is based on the unity of Li-Chi(理氣) and the unity of Xin(心) and Xing(性). His arguments about Human mind and Moral mind were compared to those of Luo Qinsun(羅欽順) of the Ming Dynasty and Noh Sushin(盧守愼) of the mid-Joseon Period. t stems from the judgment that Yi's Xinxue(心學) is in the extension of Luo Qinsun and Noh Sushin. No literary evidence can be found that Yi himself was influenced by Luo and Noh, but he found considerable similarities while comparing and reviewing the content. Luo and Noh are different from Zhu-zi,(朱子) which both Moral-mind and Human-mind understand as Qing(情)-Yifa(已發). Their features are what they claim to be Moral mind-Xing(性)-Weifa(未發)-Ti(體), Human mind-Qing(情)-Yifa(已發)-Yong(用). It is a negative opinion o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of Tianli(天理)-Moral Mind and Siyu(私慾)-Human Mind, which is spoken in Chengzhuue(程朱學). Yi Gyujun recognized Moral Mind as Tiandao(天道) of Weifa. And it was called Human Mind that appeared through the human body and divided good and evil. Tiandao-Xin(Mind) and Xin(Heart) of the blood are one, not two. But there is something different from Luo or No in the discussion of Yi's Moral-mind and Human-mind. Although Luo and Noh have been explicitly described as 'Moral Mind-Xing-Weifa' and 'Human Mind-Qing-Yifa', it is not easy to find the explicit reference of 'Moral Mind-Xing' and 'Human Mind-Qing' in the case of Yi. The discussion of Yi's Moral-mind and Human-mind leads to the discussion of Zhonghuo(中和). Yi sets Xin on moral grounds rather than Xing. Good and evil understood that it depends on whether Xin controls Wuzang(五藏) and the body or Wuzang and the body leads Xin. According to Yi, Xin becomes the Moral Mind, which is Zhong of Weifa. If Xin controls Wuzang and the body and is suitable for theft, it is called Huo(和) of Human Mind, Yifa. And he describes thi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Yiben(一本) and Wanshu(萬殊).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