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합주 <청성곡> 연구 (A Study on Ensemble on the Phonograph Records in the early 20th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합주 &lt;청성곡&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41권 / 41호 / 105 ~ 130페이지
    · 저자명 : 정소희

    초록

    청성곡은 한국음악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정악독주곡인데, 20세기 초의 유성기음반에 따르면 세악합주․양소병주․단소병주․장고반주의 단소독주․무반주 대금독주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으로 연주되었다. 본 논문은 합주편성의 청성곡 음원인 ≪아악정수≫의 <요천순일지곡>과 ‘빅타’판 양소병주 <청성곡> 의 음악요소를 분석하고 편성 악기의 선율관계를 조명하여, 청성곡이 현행의 독주곡이라는 인식을 벗어나다양한 연주형태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악합주 편성의 ≪아악정수≫ <요천순일지곡>은 총 5각 2박으로 이루어 졌고, 장고가 편성되면서가곡과 같이 일정한 한배로 합주하였다. 생황․단소․해금이 같은 옥타브에서 유니즌(Unison)으로 연주하였는데, 특히 단소는 다양한 꾸밈음을 첨가하여 선율을 연주하였다. 대금은 현행의 대금독주 <청성곡> 과 다르게 한 옥타브 아래인 저취(低吹)에서 연주하는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의 역할을 동시에 하였다.
    양소병주 편성의 빅타판 <청성곡>은 총 4각 11박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고가 11박+5박의 가곡 장단을 연주하였다. 단소는 독주 <청성곡>과 동일하게 화려한 선율로 양금의 여백을 채우며 주도적으로 선율을 연주하고 있었다. 양금은 ‘『’ 의 단순한 리듬으로 골격음을 연주하며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동일음을 반복할 때 같은 음을 연주하지 않고 옥타브를 상하행하며 연주하였다.
    요컨대 두 개의 합주 <청성곡> 모두 가곡과 같은 장단과 짜임새로 구성되었는데, <청성곡>이 가곡에원류(原流)가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합주 <청성곡>의 선율분석을 통해 대금이 저취․평취․역취의 다양한 음역대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기 때문에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소는 세악합주의 ≪아악정수≫<요천순일지곡> 보다 양소병주의 빅타판 <청성곡>에서 더욱 화려하게 선율을 연주하였는데, 세악합주보다 양소병주 악기편성에서 단소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초에는 동일한 <청성곡>에서 합주 편성에 따라 각 악기들의 선율을 다르게 운용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Chung-Sung-Gok’ was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traditional solo music, according to gramophone records in early 20th century, it was played in the various forms of musics such ‘Se-ag’ ensemble, ‘Yang-so’ duet, ‘Dan-so’ duet and ‘Dan-So’ solo accompaniment with ‘Jang-go’ as ‘Dae-gum’ solo.
    I’d like to suggest that the recognition of ‘Chung-Sung-Gok’ as a solo playing should be changeable to the various instruments playing through this thesis, by analyzing musical elements and lighting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hich was an origin of ‘Chung-Sung-Gok’, and analyzing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s.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as composed 5 times with 2 beats In addition of ‘Jang-go’ it was played a tempo like Gesang. And ‘Saeng-whang’.
    ‘Dan-so’ and ‘Haegum’ was played at the same octave, especially ‘Dan-so’ was played with various ornaments. ‘Daegum’ had the role of base and melody which was played in a low sound with one down octave deferantly with current ‘Daegum’ solo ‘Chung-Sung-Gok’.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 was composed total 4 times and 11 beats, and ‘Jan-go’ was played on a ‘Gesang’ rythem with 11 times plus 5 beats.
    ‘Yanggum’ had subsidize role playing with a simple rhythem ‘『’. When a music was playing with the same rhythem it’s octave was changed on one octave high or low.
    In short, two of the ensemble songs of ‘Chung-Sung-Gok’ consists of the same tune and texture, because this song’s headwaters was origined by ‘Gesang’.
    Analyzing the melody relatations of ‘Chung-Sung-Gok’ in each instruments, I found that ‘Daegum’ had not only the role of base and but melody, because it is a good instrument which is played in row, middle and high sound level.
    ‘Dan-so’ melody was played more splendidly on ‘Chung-Sung-Gok’ than ‘Yocheon-Soonil’ in ‘A-ag Jeong-su’ with ‘Se-ag’ ensemble. It is because the role of ‘Dan-so’ was so increased in ‘Yang-so’ duet than in ‘Se-ag’ ensemble.
    It seems that the melody of several instruments was played deferantly on the same ‘Chung-Sung-Gok’ play, in early 20th centry, depend upon composing of the instr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