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 學脈의 修養論에 관한 硏究 : 栗谷․巍巖․南塘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Self-Culture of Yulgok Circle : Focused on Yulgok, Oiam and Namda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03
22P 미리보기
栗谷 學脈의 修養論에 관한 硏究 : 栗谷․巍巖․南塘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35호 / 31 ~ 52페이지
    · 저자명 : 이천승

    초록

    이 논문은 수양론의 관점에서 조선 성리학의 한 축을 대변하는 율곡의 견해와 그의 학맥에서 진행된 호락논변의 주요쟁점들을 연관시켜, 당시 성리학자들의 지향점과 수양의 방법을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먼저 율곡이 일상의 구체적 판단 이전의 심리상태인 의향[意]에 특별히 주목한 점과 본성의 회복을 위한 기질변화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성실한 마음가짐으로 도덕의식을 지향하려는 자세는 가변적인 마음에 대한 성찰에서 나온 것이다. 율곡은 기질의 그릇된 상태를 교정하여 바로잡으려는 극기의 노력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서는 호연지기와 같은 본연의 상태를 보양하려는 이중적 잣대를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율곡의 견해를 계승하면서도 한국 성리학계의 쟁점을 형성하였던 논의들의 주제가 지니는 의미와 견해 차이를 검토해보았다. 성리학자들의 수양론에서 순수도덕의식을 체현하려는 미발과 관련된 논의는 호락논변으로 일컫어지는 핵심주제였다. 아울러 기질 혹은 기질지성을 미발상태의 순수의식에까지 연관시켜 볼 수 있는지 여부는 기존의 성리학 전반에 걸친 재검토의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외암은 기품과 차별되는 본심 그리고 심성이 일치되는 함양의 노력을 앞세웠고, 반면에 남당은 기질이라는 토대를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을 강조하면서 기의 검속과 규제를 강조하였다.
    이상을 통해 율곡이 聖學을 지향하면서 제시하였던 기질의 변화방법인 교정과 보양의 통합적 시도는 호락논변을 거치면서 두 방향의 수양론으로 나눠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바람직한 도덕적 인간상의 구현을 위해서는 내적인 함양을 통한 본심의 보존, 혹은 외적 규제를 통해 기질을 개선하고 성찰하려는 서로의 주장 속에 도덕적 인간다움의 의미를 묻는 전통지식인들의 절실함이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self-culture, combines the opinions of Yulgok,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with main issues of the Horak argument (argument of whether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s and beasts are same or not) which had developed from his school and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ultimate goals of then Confucian scholars and their methods for mental culture.
    First, I look for why Yulgok paid a special attention to [intention], a mental state, being before a practical judgment in a daily life and methods to change his or her disposition for the recovery of the original nature. The attitude of pursuing moral consciousness with sincerity emphasized the self-control efforts that put a wrong state of temperament on a right place. And along with this, he also adopted a double standard in order to invigorate the natural state like a great morale, depending on situation.
    Second, I examine meanings of subjects of issues which had been formed and discussed in the Korean Confucianism circle that also took over the opinions of Yulgok and different views around them. Discussions related to 'being dormant' that tries to embody pure moral consciousness in the theory of self-culture dealt by Confucianism scholars were a key subject, called Horak argument. Oiam stressed efforts to harmoniously build his or her right mind (differentiated from dignity) and nature, while Namdang emphasized regulation of spirits by saying that people cannot escape from a basis of disposition.
    Through the above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tries to integrate correction and stimulation, a method to change temperament, suggested by Yulgok were divided into two methods of the theory of mental culture through Horak arg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