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世和의 用夏九曲과 관련 詩에 대하여 (About Park, Sehua(朴世和)'s Yonghagugok(用夏九曲) and the related poem)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4.12
57P 미리보기
朴世和의 用夏九曲과 관련 詩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6호 / 243 ~ 299페이지
    · 저자명 : 이상주

    초록

    朴世和(1834~1910)는 1895년 8월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일어났던 그 해 겨울, 지금 충북 제천시 덕산면 억수리 用夏九曲의 상류인 茀億山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書示書社同志>를 지었다. 이 글에서 그는 道를 따라 죽고 動搖가 일어나도 동요하지 않는 것이 義라는 점을 강조하고 경전을 공부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1898년 용하구곡을 설정했다. ‘用夏’라는 명칭은 『맹자』의 ‘用夏變夷’를 차용한 것으로, 그의 투철한 ‘道統意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박세화의 用夏九曲은 도통계승의식을 구곡의 명칭에 담은 현존 最初의 구곡이다.
    그는 용하구곡 1곡부터 9곡까지의 바위에 朱子의<夷櫂歌>의 詩句를 4字語로 壓縮하여 새겼다. 또 1곡부터 9곡 중간 중간의 바위에도 ‘洗心瀑 ‘攝雲臺’등 道學的 내용을 담은 명칭을 새겼다. 그는 용하구곡에 用夏洞家塾을 건립하고 講書臺를 조성했다. 이는 ‘尊華攘夷’ ‘道統意識’을 강학하여 항일의지를 견강히하고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이 용하구곡에서 문도들을 모아 강학했으며, 용하구곡의 수려한 산수를 시로 읊었다. 용하구곡시도 지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어찌 된 사연인지 박세화의 용하구곡시는 그의 문집 『毅堂集』에 실려있지 않다. 李元雨(1880~1962)등 그의 문인들이 용하구곡시를 지어 도통계승의식을 문학으로 표출했다.
    이렇듯 박세화가 용하동으로 들어가 용하구곡을 설정한 이유는 ‘존화양이’ ‘도통의식’을 강학하여 항일의지를 공고히하고 항일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그는 국난을 극복해야하는 조선말 일제강점기에 士林으로서 시대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문화재청은 2014년 8월 28일 목요일 용하구곡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 용하구곡의 자연경관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했다는 증거이다. 이에 용하구곡과 용하구곡 관련 시의 문학적 성과를 규명하는 것은 시대의 대세에 학문적으로 부응하는 것이다.
    박세화는 용하구곡에 대해 읊은 시에 도학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그 제자 이원우도 <用下九曲實記竝詩>에서 도통의 연원과 관련있는 내용을 응용하여 시를 지었으며, 그 표현기법에 있어서 비유법을 잘 구사하여 문예미도 잘 살렸다.
    이렇듯 박세화는 조선말 일제강점기 ‘존화양이’와 ‘위정척사’의 도통의식을 강학실천하기 위해 용하구곡을 설정했다. 또한 박세화와 이원우가 지은 시에도 도학정신을 잘 표현하였으니 문학적으로도 용하구곡의 진면목을 잘 승화했다고 그 구곡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Park Sehua(朴世和(1834~1910) entered Buleok-mountain(茀億山) which was upper valley of Yonghagugok(用夏九曲) which was located in Eeoksu-ri, Deoksan-myeon, Jecheon-si, Chungbuk at that times winter when Myeongseong Empress regicidal incident took place in August of 1895. And he composed <Seosiseosadongji(書示書社同志). In this writing, he emphasized that Eui(義)was that if tremble(動搖) took place, But did not tremble according to death of a duty(道). And he required to study the scriptures. He designated Yonghagugok in 1898. The term of Yongha (用夏) was borrowed Mencius(孟子) Yonghabyeoni(用夏變夷). We could Know his perspicacious sense of reason mastery.
    He carved the Yonghagugok rocks from 1rock to 9 rock with poems phrases(詩句) of <Muyidoga(武夷櫂歌)> by JuJa(朱子) as a condense(壓縮) four letters(4字語). And he also carved the terms which was contents of Confucian ethics(道學的) at the middle and middle rocks also from 1rock to 9 rock such as 'Sesimpok'and 'Seopwundae'and so on. He constructed Yonghadonggasuk(用夏洞家塾) at Yonghagugok and established Gangseodae(講書臺). In order to use these for headquarters an anti-Japanese movement through he lectured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尊華攘夷)' and 'Sense of reason mastery(道統意識)', in order to make strong the anti-Japanese sentiment.
    He had gathered the diciples and studied at the Yonghagugok, and he had recited good-looking landscape of Yonghagugok. It seemed that Poem of Yonghagugok might be composed. But with how story his literary collection Uidangjip had not recorded Park Sehua(朴世和)'s Poem of Yonghagugok(用夏九曲). Lee, Wonwoo(李元雨( 1880~1962))and so on, his literary men expressed literature, with succession sense of reason mastery through composing of poems of Yonghagugok.
    Like this Park, Sehua entered Yongha-dong and set up Yonghagugok. The reason of this point was done in order to use the base of an anti-Japanese movement by lecture of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 and of sense of reason mastery and through that it made firmly with the anti-Japanese sentiment. Therefore he performed faithfully to play the role of gentry majority(士林) in the late Joseon of colonial era.
    Park, Sehua reflected the contents of Dohak in the poems of reciting about Yonghagugok. His disciple, Lee, Wonwoo composed the poem which applied the related contnets of Dotong origin in Yonghagugoksilgibyeongsi(用下九曲實記竝詩). In expression technique, he excellently expresses literary art beauty through having a good command of metaphor. Like this Park, Sehua designated the Yonghagugok in order to practice of study of sense of reason mastery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nd 'respect Chinese and repel barbarian'(尊華攘夷) in the late Joseon of colonial era. And the poems by Park, Sehua and Lee, Wonwoo were well expressed the sense of reason mastery, it can be endowed the meaning such as good sublimation of intention of Yonghagugok desig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