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慶南地域 士林들의 華陽九曲詩에 대한 考察 (A Study(考察) on Gyeongnam District(慶南地域) Sarim's(士林) Hwayanggugok Poetry(華陽九曲詩))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10
35P 미리보기
慶南地域 士林들의 華陽九曲詩에 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5권 / 103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상주

    초록

    尤庵 宋時烈(1607~1689)과 그 문하생 權尙夏(1641~1721)와 閔鎭遠(1664~1736)은 화양구곡에 ‘尊華攘夷’ ‘衛正斥邪’ ‘道統意識’을 표상화하였다. 이후 우암을 숭앙하고 ‘尊華攘夷’의식을 계승한 사림들은 화양구곡을 성지로 순례하였으며, 화양구곡시를 지었다. 기호사림이 아니더라도 주자와 우암을 숭앙하고 ‘尊華攘夷’의식이 투철한 사림들은 화양구곡을 순례하고 화양구곡시를 지었다. 지금 행정구역상으로 경남지역 출신인 河益範(1767~1813), 鄭煥周(1833~1899), 李直鉉(1850~1928), 鄭鳳基(1861~1915)도 화양구곡시를 지었다. 네 사람이 화양구곡시를 창작한 이유는 ‘學緣’과 ‘尊華攘夷’ ‘衛正斥邪’意識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하익범은 가문과 학통의 인연으로 우암을 존모하고 그 ‘존주대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화양구곡을 순례하고 화양구곡시를 지었다. 정봉기와 이직현 두 사람은 ‘존주대의’ ‘존화양이’정신으로 화양구곡을 순례하고 그 정신을 화양구곡시로 대변했다. 정환주는 화양구곡을 순례하지는 않았지만 ‘존화양이’의식이 투철했다. 이들은 문장과 화양구곡시를 지어 자신의 제자들과 친지 동료등 경남지역 사림들에게 이를 암송하게 하여 ‘존화양이’ ‘위정척사’의식을 더욱 공고히 하고자 했다.
    華陽九曲詩에 나타난 尊華攘夷의식의 형상화 양상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華陽九曲에 尊華攘夷의식의 聖地化에 대한 찬양, 둘째 北伐計劃 中斷에 대한 痛恨, 셋째 明나라 神宗皇帝의 ‘再造藩邦’에 대한 崇慕. 넷째, 尤庵의 臥龍과의 同一視化, 다섯째 화양구곡의 神仙界로의 刻印이다. 이렇듯 그들이 화양구곡을 순례하기도 하고 화양구곡시를 지은 것은 조선말 일제강점기에 ‘時世事業’ 즉 ‘존화양이’ ‘扶正斥邪’의식을 강화계도하기 위함이었으니, 선비로서 자기시대의 도리를 다했다고 그 시대적 구곡문학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1607~1689) and his pupils, Kwon, Sangha(權尙夏 1641~1721) and Min, Jinwon(閔鎭遠 1664~1736) had represented the Hwayanggugok with ‘Jonhwayangi(尊華攘夷)’, ‘Wijeong cheoksa(衛正斥邪)’ ‘Dotong Sense(道統意識)’. After this, the Sarims those who adored Uam and succeeded ‘Jonhwayangi(尊華攘夷)’ Sense had made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as a sacred place and had composed Hwayanggugok poetry. Not to Gihosarim but the sarim who adored orthodox Neo-Cunfucianism and Uam and who had thorough Dotong Sense, they had made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and had composed Hwayanggugok poetry. Current administrational district of Gyeongnam area, native born Ha, ikbeom(河益範 1767~1813), Jeong, Hwanju(鄭煥周 1833~ 1899) Lee, Jikhyeon(李直鉉 1850~1928), and Jeong, Bonggi(鄭鳳基 1861~1915) had composed Hwayanggugok poetry, too. The reason of four persons' creation of Hwayanggugok poetry was adhered(堅持) to ‘school tie(學緣)’, and to sense(意識) of ‘Jonhwayangi(尊華攘夷)’and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Ha, Ikbeom had composed Hwayanggugok poetry after making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in order to succeed the ‘Jonjudaeui(尊周大義)’ spirit and to respect Uam longing with relation of his family and of a scholastic mantle. Jeong, Bonggi and Lee, Jikhyeon, both of two persons had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with spirits of 'Jonjudaeui(尊周大義)‘, and of Jonhwayangi(尊華攘夷)’ and they had spoken for their those spirits through Hwayanggugok poetry. Jeong, Hwanju had not made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but his ‘Jonhwayangi’ thought was thorough. These poets intended to strengthen spirits of ‘Jonhwayangi’ and of ‘Wijeongcheoksa’ more and more after composing Hwayanggugok poetry and then they made recite these poetry for the Gyeongnam district Sarims, such as their own disciples, acquaintance, colleague and so on. Like this, they would make a pilgrimage of Hwayanggugok and had composed Hwayanggugok poetry, that was in order to strengthen and to lead ‘Sisesaeop(時世事業)’, that is to say, ‘Jonhwayangi’ and ‘Bujeongcheoksa (扶正斥邪)’ Sense in the late choson Japanese Colonial Period. I can be given meaning of contemporary Gugok literature for they had peformed justice of their period as a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