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谷那鐵山과 百濟 (Yokna(谷那) Iron-mountain and Baekj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8
38P 미리보기
谷那鐵山과 百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5호 / 65 ~ 102페이지
    · 저자명 : 이도학

    초록

    삼국시대의 身分을 나타내는 威勢品으로서 耳飾에 대한 논고는 상당히 축적된 바 있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耳飾이 존재한다. 백제의 한성 도읍기(BC.18~AD.475)에 제작한 4곳의 耳飾들이었다. 서울의 석촌동과 익산 입점리와 전라남도 谷城 석곡리와 방송리에서 출토된 모두 4개의 金製 耳飾에 관한 것이다.
    백제의 國都였던 서울을 軸으로 할 때 익산은 그렇다 치더라도 곡성은 산간 지대인 동시에 交通路의 부담이 큰 遠距離임이 분명하였다. 그런 관계로 곡성 출토 耳飾의 편년을 웅진성 도읍기(475~538)로 상정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경우는 『日本書紀』 神功 49년조에 대한 이해가 전제될 때 풀리게 된다. 神功 49년인 369년에 백제군은 낙동강유역에서 우회한 후 古奚津인 康津에서 집결하여 忱彌多禮를 屠戮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백제가 要港인 강진을 장악했고, 침미다례인 해남을 철저하게 제압했다는 것이다. 백제는 이때 중국의 新나라 화폐인 貨泉이 출토될 정도로 교역의 거점이기도 했던 군곡리 패총을 끼고 있는 해남을 장악했다. 그 후에 백제 아화왕의 무례함을 빌미로 倭가 빼앗아 갔다는 東韓의 땅 가운데 침미다례와 더불어 谷那가 보인다. 이로 미루어 볼 때 谷那 역시 침미다례와 더불어 369년 무렵에 백제에 장악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동시에 고흥반도의 안동 길두리 고분의 피장자가 백제 중앙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음이 드러 났었다. 그렇다고 할 때 한성 도읍기의 백제는 지금의 전라남도 해안인 강진과 해남 및 고흥반도 일원을 장악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4세기 후반 이후 백제는 전라남도 해안을 장악했던 것이다.
    그런데 백제 근초고왕은 倭에 使臣을 파견하여 谷那鐵山의 우수함을 선전하였다. 백제왕이 倭王에게 하사한 七支刀는 谷那鐵山의 山鐵로 제작한 것이었다. 그러한 谷那鐵山의 위치에 대해서는 황해도 谷山을 비롯하여 그 인근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많았다. 백제가 이 무렵 고구려에 대한 군사적 우세를 취하는 상황에서 새롭게 지배한 鑛山으로 간주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정은 전혀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밝혔다. 반면 谷那는 전라남도 谷城으로 究明되는 동시에 백제가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는 상황에서 개척한 鐵鑛으로 밝혀졌다. 곡성에서는 철광의 존재를 암시하는 정황적 증거들이 많았다.
    良質의 鐵鑛인 谷那鐵山의 개발과 관련해 당시 중요한 鐵鑛은 운송로의 용이한 개척이 전제되어야만 했다. 곡성의 谷那鐵山은 보성강과 섬진강을 매개로 한 후 남해안과 서해안을 거슬러 올라가서 백제 중앙으로 공급하는 게 가능했다. 그러니 백제의 섬진강유역 진출과 장악은 4세기 후반까지로 소급될 수 있는 것이었다. 무녕왕대에 이르러 섬진강유역에 대한 지배권을 둘러싸고 백제와 대가야가 대립하게 된 것은 谷那鐵山의 광물 운송로의 항구적인 확보와 대외 교섭 창구의 확보라는 양보할 수 없는 긴박한 이해관계가 충돌된 데서 비롯되었다.

    영어초록

    It is thought that the 4 pieces of gold earring each excavated nearby the 4th Grave located in Seokchon-dong, Seoul, around the 1st Grave located in Ipjeom-ri, Iksan, in Seokgong-ri, Gokseong(谷城) and in Bangsong-ri, Gokseong were all used during the Hanseong Capital era (B.C.18~A.D.475). They are formed of long gold chains to which small heat looking plates are attached at their bottoms. It is the issue that the gold earrings with same form and used in same era have been found in Seoul, Iksan and Gokseong areas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the current Seoul was the capital of Baekje, such earrings could be found in Iksan in terms of distance from Seoul. However, Gokseong is a mountain region, which is too far to go to from Seoul. That is why some suppose that such earrings excavated in Gokseong were used during the Ungjin Capital era(475~538). This issue, however, can be solved according to the recording shown in the section about the 49th year of Jin Gou, Nihon Shoki. In 369, the 49th year of Jin Gou, the forces of Baekje bypassed Nakdong River region and gathered in Gangjin that was a harbor called Gohaejin to destroy Chimmidarye. Here, the key point is that Baekje seized Gangjin, one of the important harbors then, and completely overpowered Haenam of Chimmidarye. At that time, that is, Baekje took control of Haenam, which had Gungok-ri shell heap that played the hub of trading so vividly that Hwacheon(貨泉), money of Chinese Shin(新) dynasty, was excavated. The recording shows also Yokna as well as Chimmidarye of Donghan(東韓). It says that Yokna was taken by Japanese Yamato(倭) dynasty later to punish the rudeness of King Ahwa(阿花王) of Baekje. From this point of historical fact, it is thought that Yokna was also seized by Baekje around 369 together with Chimmidary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erson buried in an old grave in Goheung peninsular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This fact indicates that Baekje took control of Gangjin, Haenam and Goheung peninsular located around the coastal area of current Jeonranam-do during its Hanseong Capital era. That is, Baekje had dominated Jeonranam-do coastal area since late 4th century.
    The King Geunchogo of Baekje dispatched his envoy to Japanese Oi to announce the superiority of Yokna Iron-mountain. Chiljido that the king of Baekje presented down to the king of Oi was made of the mountain iron mined from Yokna Iron-mountain. There have been, however, many views that supposed the location of such Iron-mountain was Goksan, Hwanghae-do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y thought that Goksan was the mine that Baekje newly took control of with their bigger military power than that of Goguryeo then. I, however, revealed that such views were not acceptable at all and that Yokna was Gokseong of Jeonranam-do, which was the Iron-mountain that Baekje pioneered while taking control of the south coastal area. There are many circumstantial proofs that infer the existence of iron mine in Gokseong.
    Development of Yokna Iron-mountain for good quality iron must have been after pioneering of transportation path good enough to transport iron. Yokna Iron-mountain of Gokseong made it possible to provide iron to the capital of Baekje using the path made through Boseong River, Seomjin River, south coast and west coast. The history that Baekje went down to Seomjin River area to seize could be dated back to late 4th century. The opposition between Baekje and Tae-Gaya for domination of Seomjin River area in the era of King Munyeong was caused by collision of desperate interests for permanent seizure of the transportation path of the resources mined from Yokna Iron-mountain and securing of communication area that could never be conceded to the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