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행동의사결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Focusing on the Behavioral Decision Theoretic Approach)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10
21P 미리보기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행동의사결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31권 / 5호 / 123 ~ 143페이지
    · 저자명 : 하영원

    초록

    소비자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소비자 연구자들에게 핵심적인 중요성을 갖는 연구 분야이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 60여년 간의 행동의사결정론(Behavioral Decision Theory; BDT)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소비자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를 검토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향후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를 전망하고 바람직한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행동의사결정론 분야에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학자들의 이론인 Herbert Simon의 제한된 합리성, Daniel Kahneman의 프로스펙트 이론, 그리고 Richard Thaler의 행동경제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이론들이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나서 저자는 1970-2000년의 기간에 걸쳐 소비자 연구자들이 BDT 연구에 호응하여 새롭게 형성한 새로운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흐름을 구성적 의사결정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검토하였다.
    1970-2000년에 걸친 기간동안 BDT기반 소비자연구의 두드러진 특징은 의사결정에 관한 규범적 이론에 위배되는 변칙 현상(anomaly)들을 찾아내는데 주력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변칙 현상들을 찾아내는데 그치지 않고 그 근저에 깔려 있는 심리적 기제를 밝혀내는 작업에 더 큰 가중치를 두는 쪽으로 연구의 중심이 옮겨 갔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소비자의 판단과 의사결정 연구에서 일어난 새로운 움직임은 (1) 이미 확립된 발견들의 심리과정에 대한 천착, (2) 시간지각과 시간이 개입된 선택에 대한 관심, (3) 감성적 요인에 대한 연구의 증가, (4) 행복 연구에의 관심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000년 이후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흐름은 사회심리학자들의 이론적 틀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Bargh의 비의식 과정(nonconscious processes)에 대한 연구, Higgins의 조절 초점 이론, Trope and Liberman의 해석 수준 이론, Wilson and Gilbert의 감성예측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이론들이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친 영향을 간단하게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에 대한 전망과 미래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소비자 의사결정을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로 나누었을 때 심층구조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소비자/마케팅 중심의 소비자 의사결정 연구, 새로운 방법론의 활용, 외적타당성과 계량적 분석 방법의 중요성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Consumer decision mak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reas for consumer researchers. In this article, I review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that is based on behavioral decision theory (BDT). Furthermore, I predict on where the field may be headed in the future, and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onsumer decision making. First, I briefly review the work of the scholars who won Nobel prize in economics for their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human decision-making behavior: (1) Herbert Simon’s bounded rationality, (2) Daniel Kahneman’s prospect theory, and (3) Richard Thaler’s behavioral economics. Then, I examined how these contributions impacted research on consumer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I also reviewed BDT-based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conducted in the period of 1970-2000.
    One of the most salient characteristics of the BDT-based consumer research in the period of 1970-2000 was that researchers concentrated on identifying anomalies that violated normative theories in decision making.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however, researchers began to lay more emphasis on clarifying the mechanism underlying these anomalies. I reviewed BDT-based consumer research that examined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the well-established anomalies such as the attraction effect. In addition, I also reviewed research on time perception and intertemporal choice, the role of emotion in decision making, and decision-making researchers’ studies on happiness.
    Another important stream of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since 2000 is the impact of theoretical frameworks proposed by social psychologists. I review consumer decision making research that is based on Bargh’s studies on nonconsciousness, E. Tory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Trope and Liberman’s construal level theory, and Wilson and Gilbert’s affective forecasting.
    Finally, I predict on the directions that the BDT-based consumer decision making may be headed for, and I make several suggestions for possible future research topics for this field. I emphasize the ne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ep structure of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its environment. In addition, I suggest that (1) future research might be better off concentrating on consumer-centric decision making research as opposed to generic decision making research, (2) relatively new methodologies such as EEG or fMRI should be used whenever they might be appropriate, and (3) we need to enhance external validity of research and improve our ability to handle big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