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古銅器 수집과 감상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Late Joseon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8.09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古銅器 수집과 감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미술사학 / 7권 / 109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용진

    초록

    조선후기 서화고동의 수장과 감상은 명대말기 문인 문화의 수용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라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는 서적의 수입을 통해 수용되었고, 당대의 문집 등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의 서화고동의 수집과 감상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서 수장가들은 고동, 서화라는 명칭이 들어가는 건물을 가질 정도로 많은 서화고동을 수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명청대의 고동기 방제의 경향을 따르고 있어 상주대 고동기를 비롯해 명대 선덕로의 방제가 주요한 수집과 감상의 대상이었다. 조선의 고동기수집과 감상은 주로 鼎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현재 남아있는 것들은 대부분 18~19세기조선에 유입된 것들이다. 조선후기 고동기 수집과 감상 열기로 인한 감식서도 등장하는데, 서유구의 뺷임원경제지뺸 「이운지」권5 <예원감상>의 고동은 당시 고동기 수집과 감상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뺷동천천록뺸, 뺷준생팔전뺸 등 명청대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대표 서적을 인용하여 작성한 것이다. 박지원의 뺷열하일기뺸 「고동록」에도 당시에 유행하였던 고동기의 종류와 등급 등을 언급하였는데, 박지원은 인용 근거를 명시하시 않았지만 뺷준생팔전뺸의 내용과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유구와 박지원이 인용한 뺷준생팔전뺸의 내용 중 고동기등급과 평가에 대한 것은 북송대 편찬된 뺷선화박고도뺸를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지배층의 고동 수집과 감상의 경향은 문왕정과 선덕로로 대변되며, 문왕정은 유교적 대의명분이 강하였고, 선덕로는 명대이후 향로의 가장 중요한 품목이었기 때문에 조선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따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the calligraphies and antiques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due to the acceptance of the literati culture of the end of the Ming period. These kinds of culture was accepted through the importation of books, and it is confirmed through a collection of works.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the calligraphies and antiques at that time was quite extensive, so the collectors had a building with the name “Kodong” and “calligraphy”.
    The tendency of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the late Joseon period followed the tendency of Ming and Qing dynasty. The imitations of Xuandelu as well as bronzes of Shang and Zhou dynasty became the subject of major collection and appreciation. The 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Chinese bronzes of Joseon period was mainly centering on Ding, and most of the remains left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me to Joseon.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connoisseurship books about distinguishing the authenticity like Imwongyeongjeji by Seoyugu by quoting Dongtianqinglu(洞天淸錄) and Zunshengbajian(遵生八牋) and Godongrok of Yeolhailgi by Parkjiwon.
    Parkjiwon mentioned the types and grades of Chinese bronzes that were prevalent at the time in the his Godongrok of Yeolhailgi. He did not specify the grounds for quoting, but he quoted Zunshengbajian(遵生八牋).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Zunshengbajian quoted by Seoyugu and Parkjiwon follows the Xuanhebogutu that was published at Northern Song.
    The tendency of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the ruling clas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was represented by Wenwang rectangular 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