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안전에 대한 뉴스키워드의 동향 분석 - 코로나 이전, 팬데믹, 그리고 이후 - (Trend Analysis of News Keywords about Youth Safety -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11
15P 미리보기
청소년 안전에 대한 뉴스키워드의 동향 분석 - 코로나 이전, 팬데믹, 그리고 이후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36호 / 303 ~ 317페이지
    · 저자명 : 임백호, 양찬규, 정백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전후로 청소년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주요 이슈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2018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청소년 안전 관련 뉴스데이터 총 92,912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코로나 이전기(2018-2019), 팬데믹기(2020-2021), 이후기(2022-2023)로 구분하여 뉴스키워드 동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방’, ‘정책’, ‘보호’는 모든 시기에 걸쳐 핵심키워드로 나타나 청소년 안전이 지속적인 사회적 관심사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코로나 팬데믹기부터는 ‘코로나’, ‘방역’, ‘온라인’과 같은 키워드가 부각되며 디지털 및 비대면 환경 에서의 안전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셋째, 코로나 이후기에는 ‘마약’, ‘잼버리’ 등 새로운 위험요소가 등장하여 선제적이고 예측적인 대응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청소년 안전 정책이 물리적 보호를 넘어 디지털 환경과 융합된 대응체계로 확장될 필요성을 제안하며, 청소년들이 온·오프라인 환경 모두에서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social interest and key issues regarding adolescent safety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sing BigKinds, provid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 total of 92,912 news articles related to adolescent safe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018 to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pre-pandemic (2018-2019), pandemic (2020-2021), and post-pandemic (2022-2023), followed by an analysis of news keyword tren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evention," "policy," and "protection" consistently emerged as core keywords across all periods, confirming that adolescent safety remains a sustained societal concern. Second, during the pandemic, keywords such as "COVID-19," "quarantine," and "online" became prominent, highlight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afety in digital and contactless environments. Third, in the post-pandemic period, new risk factors, such as "drugs" and "Jamboree," surfaced, underscoring the need for proactive and predictive responses. This study suggests that adolescent safety policies must extend beyond physical protection to encompass integrated strategies addressing challenges in digital environments. By proposing a policy framework to ensure adolescents' safety in both online and offline contexts,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ir secure and healthy grow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