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해석의 상이성 지닌 의미 고찰-주희와 왕수인 그리고 윤휴의 견해를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various perspective of interpretation on 『Da Xu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대학』 해석의 상이성 지닌 의미 고찰-주희와 왕수인 그리고 윤휴의 견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9호 / 81 ~ 112페이지
    · 저자명 : 최정묵

    초록

    이 글은 『대학』을 이해하는 몇 가지의 관점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주희가 『대학』에 대한 체계를 새롭게 구성한 후에 많은 학술적 논변이 일어났다. 『고본대학』 자체를 그대로 인정하는가, 아니면 주희의 『대학장구』를 수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 첫 번째의 문제이다. 왕양명, 윤휴, 정약용 등은 『고본대학』 자체로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주희의 작업은 무의미하다고 보고 있다.
    두 번째의 문제는 강령의 개수에 대한 것이다. 주희는 명명덕, 친민, 지어지선을 삼강령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두 개의 강령만이 있을 뿐이라는 입장인데, 박세당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그는 지어지선에 대한 주희의 해석과 지어지선과 연계되는 조목이 없는 점을 들어 지어지선을 강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대학』이해에 있어 가장 큰 논란은 격물치지에 대한 해석에 있다. 주희는 격물치지를 사물에 즉하여 이치를 궁구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그의 해석에는 두 가지의 지향점이 있다. 하나는 사물의 존재법칙을 인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윤리법칙을 자각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왕수인은 주희가 격물설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을 비판하고 있는데, 그는 이것을 인식론이 아닌 수양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공부에 있어 가장 우선적인 것이 誠意라고 보고 때문에, 격물치지를 급선무라고 생각하는 주희의 관점을 거부하는 것이다.
    윤휴는 격물을 두 가지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다. 하나는 마음과 관련된 것으로서, 방심을 수렴하고, 엄숙, 고요, 전일한 상태를 유지하여 본원의 밝음을 통해 사물을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살펴서 묻고, 정밀하게 생각하여 연구를 거듭하여 신화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첫 번째가 인간의 마음과 관련된 수양의 문제이고, 두 번째는 사물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그 방법적인 측면을 말한 것이다.
    다음으로 명덕에 대한 개념규정과 명명덕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주희와 왕수인의 견해는 크게 다르지 않다. 한편 윤휴나 정약용은 명덕을 효제의 마음이나, 효·제·자 자체로 이해하고 있어, ‘뭇 이치를 갖추고 만사에 응하는 것’이라고 추상적으로 규정한 주희의 견해와는 사뭇 다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친민의 해석에 있어서는 우선 주희는 정이천의 견해를 수용하여 신민설을 주장한다. 반면에 왕수인 백성에 대한 치자의 마음과 실천에 주목하여 친민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윤휴의 경우를 보면, 신민을 부정하고 친민을 옹호하였다는 기존의 연구가 있었지만, 내용을 확인하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정약용은 친민설을 지지하여 신민으로 해석하는 것을 기본적으로는 찬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친(親)자와 신(新)자가 외형적인 모습의 유사성만큼이나 의미도 상통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range some perspectives of interpretation on 『Da Xue』 and find out the significance in it.
    There were many academical disputes after Zhu Xi had come up with the new structures of 『Da Xue』. The first problem is whether to accept the 『Gobondaehak』 itself, or to agree with Zhu Xi’s 『Daehakjanggu』. According to Wang Yangming, Yun Hyu and Jeong Yak-yong, Zhu Xi’s work is pointless because there is no issue in accepting 『Da Xue』 itself. The second problem is about numbering of the doctrines. Zhu Xi claims ‘Manifesting the clear character’, ‘Loving the people’ and ‘abiding in the highest good’ as the three doctrines. But Park Sae-dang asserts that there are only two doctrines despite Zhu Xi's claim. Park Sae-dang doesn’t recognize ‘abiding in the highest good’ as one of the doctrine. He supports his argument by saying that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Zhu Xi’s interpretation of ‘abiding in the highest good’ and the articles in 『Gobondaehak』.
    The biggest controversy of understanding 『Da Xue』 lies in the interpretation of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on’. Zhu Xi understands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on’ as a response of reaching out to the objects. His purpose for this interpretation is to perceive and act according to ‘the law of existence’ and ‘the law of ethics’.
    Wang Yangming criticizes Zhu Xi’s methodology on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on’ because Wang Yangming sees Zhu Xi’s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on’ as a theory of self moral training, not as a epistemology. Wang Yangming insist the priority of studying is to be sincere. Therefore he resists Zhu Xi’s idea of putting ‘extending knowledge by investigation’ above all.
    Yun Hyu understands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 as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related to mind and another is related to searching and considering cautiously and precisely. Methods relating to mind make you stay in the status where you keep yourself complete and peaceful through gathering your disrupted and scattered mind. The other method is about reaching the stage of hallowedness through thinking keenly and investigating carefully. The first method is about mind and its development and the second is about the methodology of outside objects around the world.
    Zhu Xi and Wang Yangming agree on prescribing the concept of ‘prestigious virtue’ and the necessity of ‘Manifesting the clear character’. But Yun Hyu and Jeong Yak-yong understand ‘prestigious virtue’ as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or the letter itself as filial piety, brotherly love, and affection. Therefore, their definition of ‘prestigious virtue’ is different from Zhu Xi’s abstract definition: ‘interaction with its natural law’.
    Lastly, for the understanding of ‘Loving the people’, Zhu Xi accepts the concept of ‘Renew the people’ as Jeong Yi Cheon. But Wang Yangming thinks it’s appropriate to focus on the heart of ruler and his practice in the interpretation. There was a study saying that Yun Hyu agreed on ‘Loving the people’ only and disagreed on ‘Renew the people’. But if you look closely, he did not. Jeong Yak-yong stands for ‘Loving the people’ and disproved it’s interpretation as ‘Renew the people’. However, he accepted that there are some meanings in common in the interpretation since the letters ‘Chin(親)’ and ‘Shin(新)’ are simi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