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레리나의 시뮬라크르, 그리고 발레의 음모 ― 보드리야르 이론의 적용과 확장 (Ballerina’s Simulacre and Ballet’s Conspiracy: Theoretical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Jean Baudrillar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6
39P 미리보기
발레리나의 시뮬라크르, 그리고 발레의 음모 ― 보드리야르 이론의 적용과 확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논총 / 29권 / 165 ~ 203페이지
    · 저자명 : 정두순

    초록

    지금 여기 우리의 주변을 아우르고 있는 거대한 담론이 하나 있다. 그것은 끊임없는 자기복제적 생산기능과 생산성의 한계를 알지 못한 채 질주하고 있는 테크놀로지의 폭력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형이상학적 역사가 낳은 과학적 총아인 테크놀로지는 어제는 그저 인간존재를 위한 하나의 편리한 도구로서 기능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인간존재를 잠식시키며 그 스스로가 하나의 거대한 존재로 변모해 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일상에서 심심찮게 보게 된다. 인간의 휴식은 텔레비전으로 대체되었고, 서로간의 대화는 핸드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로 변하였다. 나들이 삼아 다니던 휴일의 쇼핑도 이젠 컴퓨터만 있으면 해결된다. 무언가를 하지 않고도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일상생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몸으로 생산물을 만들어 내는 무용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노래방을 다녀와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노래방에 장착된 텔레비전 화면에 등장하여 신나게 춤을 추는 이미지들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미지화된 사물이 춤을 추고 인간의 흥을 돋우고 있다. 그것을 보고 있노라면 완벽한 박자의 소화와 함께 현란한 움직임을 해대는 이미지를 통해 놀라움을 넘어서는 일종의 공포를 느끼게 된다. 머지않은 어느 날 예술의 전당에서 ‘이미지들이 펼치는 무용공연’이 있을 것이라는 광고를 보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발레의 경우, 그 실재를 잃어버린 지 이미 오래다. 어떻게, 왜, 무엇 때문에?앞으로 진행될 글은 잃어버린 발레의 실재를 추적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발레가 탄생한 이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굴곡을 겪으며 그 생명을 유지하여 왔는지를, 그리고 지금 우리 곁에 있는 발레의 실재는 과연 무엇인지를 밝혀 나간다. 이 여정을 위하여 불러들여야 할 한 명의 가이드가 있다. 바로 이상의 언급들에 관한 발상을 가져다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이다. 그리고 이제 보드리야르는 발레의 실재를 찾아나서는 필자에게 자신의 이론과 함께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줄 것이다. 더불어 시뮬라시옹, 시뮬라크르, 하이퍼리얼리티, 내파, 침묵 등으로 이어지는 그의 냉소적이고 급진적이며 도발적이기까지 한 이론들은 발레의 실재를 파악하게 하는 것 이상을 가져다준다. 그리고 동시에 발레가 발레리나라는 유혹의 상징을 전면에 내세운 채 벌이고 있는 발레의 음모 또한 파헤칠 수 있도록 돕는다.
    낭만주의와의 공모 이래 발레의 대명사처럼 유포되어 온 발레리나의 이미지는 이제 ‘한 술 더 떠서’ 테크놀로지의 힘에 편승하여 그 지위를 계속 누려간다. 소비사회의 테크놀로지는 광고를 전면에 내세운 상업적 전략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발레리나의 이미지는 이를 발판삼아 예술적 이미지의 범람, 그리고 그것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의 범람을 조장하는 유혹의 시뮬라크르로 도약하고 있다. 발레리나의 시뮬라크르는 발레가 더 이상 발레로 존재할 수 없는 극단적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이것의 이면에는 ‘예술의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 예술은 소비사회의 상업적 전략과 함께 ‘아무것도 아닌 것(rien)’조차 예술적 상품이 될 수 있는 예술의 ‘기이한 증식’이라는 음모를 꾸미고, 이는 ‘초미적(transesthétique)’ 예술이라는 기형아를 낳는다. 그리고 오늘날 나날이 몸집을 불리고 있는 테크놀로지는 이 기형적 예술에 초월적 가치마저 부여해 준다.
    발레리나의 시뮬라크르와 함께 ‘초미적’ 발레로 그 모습을 탈바꿈하고 있는 발레도 예외일 수는 없다. 이 같은 암담한 현실에서 진정한 의미의 ‘무가치한’ 발레 즉, 예술을 비롯한 모든 사물이 기호화되어 버리는 사물의 체계 속에서 낙뢰처럼 번뜩이는 ‘무’로서의 발레를 기대할 수는 없는가? 이 같은 물음을 염두에 두면서 본 논의는 발레리나의 시뮬라크르에 저항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발레로 스스로 ‘무가치한 것’, ‘무’가 되는 발레, ‘비밀의 은유’ 혹은 ‘다른 세계의 비유’인 ‘침묵’으로서의 발레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re is a grand discourse covering our surroundings here and now. It is about the violence of technology galloping without knowing its limitations of constant replication and self-productivity. Technology, born as the darling of the history of metaphysics, functioned as the convenient instrument for human beings yesterday, yet today it, by itself, is transformed into one stupendous existence, encroaching us. Such a phenomenon is often witnessed in our everyday lives. The relaxation has been replaced with TV, and the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have been shifted to text messages. The holiday shopping outing can be done with a mere computer. It is a universe in which one can do something without actually doing it.
    Not only are those phenomena confined to the quotidian but they can also be applied to dance, produced by human body. If one has been to a noraebang s/he might have noticed a TV image dancing. The imagized objects are dancing and even heightening the gayety of humans. Gazing at it probably causes him/her to feel a kind of horror emerging from the objects with flashy movements and the perfect sense of rhythm, which easily transcends surprise. Someday in the foreseeable future, an advertisement may be seen: ‘Images Dance, Seoul Arts Center’. In the case of ballet, it has long been since it lost its reality. In what manner and for what?Beginning with tracing the reality of ballet, this work clarifies how ballet has been able to perpetuate its life, what ups and downs it has undergone from its emergence until now, and what its reality is now in which it exists next to us. To complete the journey successfully, it appears to be essential to call for a guide: Jean Baudrillard who has offered me an insight about the abovementioned issues, and is about to become a reliable companion of mine with his theories. Plus, his cynical, radical, and even provocative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simulation, simulacre, hyperreality, and implosion are to bring more than simply grasping the reality of ballet. Simultaneously, he helps uncover ballet’s conspiracy organized by bringing a sign of seduction called the ballerina to the fore.
    Ballerina’s image which has been distributed as a byword for ballet since its conspiracy with romanticism now comes to ‘escalate’ into the power of technology so that it can persistingly enjoy its status. The technology, of which advertising is the backbone, in consumer society employs commercial strategies in a very active fashion, and the ballerina’s image on such basis is making a new leap forward simulacre of seduction that aggravates inundation of artistic images and deluge of desires for consuming them. Ballerina’s simulacre drives ballet over the edge in which ballet can no longer exist as it used to be. Behind it lies ‘the conspiracy of art’. Art conspires with the commercial strategy of consumer society, giving birth to the strange proliferation of art by which even ‘nothing’ becomes something of an artistic commodity. Through the conspiracy as such, deformed children called the transaesthetic come into being. Further, today’s enrichment of technology exerts legitimizing power to accord the deformed art even transcendental value.
    Ballet in the process of having been metamorphosed into ‘transaesthetic’ one with the ballerina’s simulacre is by no means an exception. In the gloomy reality of this sort, a questioin arises: ‘Is it impossible to expect a ballet with ‘the null’ in a genuine sense, that is, a ballet with nullity which strikes like a thunderbolt on and in the system of objects, throughout which all the objects, ballet included to be sure, are transformed into signs?’ Being aware of the question above, this paper wishes to suggest the ballet of such kind as an alternative to resist the ballerina’s simulacre. Which is in and of itself null; which becomes nothingness; and which is ‘a metaphor of secret’, ‘an analogy of another universe’, and ‘silence’ most of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