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국학’의 학제(制·際)적 위치 - 국문학, 조선문학, 동양학, 그리고 한학 (The Location of “Colonial National Learning”- Wandering among National Literature, Korean Study, Sinology and Kangaku)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2.09
27P 미리보기
‘식민지 국학’의 학제(制·際)적 위치 - 국문학, 조선문학, 동양학, 그리고 한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200호 / 61 ~ 87페이지
    · 저자명 : 이용범

    초록

    ‘식민지 국학’은 식민지시기 조선이라는 상상된 국가, 혹은 민족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일련의 과정과 그것에 개입된 다양한 주체와 그들의 실천활동을 지칭한다. 본래 일본 고유의 학문을 지칭하는 한정된 용법의 용어였던 국학은 서구적 학문제도의 도입과정에서 일 국민국가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역내 보편성을 가진 용어로 변화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의 자국학은 서구대학을 모범으로 한 대학제도 내에서 미묘한 위치를 가진다. 국민국가가 보증하는 우월적 지위는 서구대학의 학제 내에서는 주변화되어 머무를 수 밖에 없다. 식민지에 설치된 제국대학 내부의 조선문학 전공은 국민국가의 보증이 없는 자국학이 대학제도 내에 배치되었을 때의 어려움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문학 전공 주임교수 다카하시 도루는 일본 국문학과 같은 ‘국문’ 텍스트의 발굴, 서구적 학문 방법론의 도입에는 무심했다. 그보다 자신이 익숙한 한학적 체계의 지속을 선호했다. 중국에 부속된 존재로서 조선의 위치를 유지시킨 것이다.
    한학적 체계는 민간학술사회에서도 작동하고 있었다. 김태준은 민간학술사회의 정인보를 일본 동양학의 초기학자들과 대비시킨다. 그가 제시한 일본의 중국학자들은 서구 학문을 받아들여 한학의 갱신을 이루어낸 것 외에도, 자국사의 연대조작을 비판하는 엄정한 학문적 태도, 문헌학을 벗어난 다양한 학문방법론의 도입 등을 주장하였다. 나이토 코난을 통해 국학의 핵심과제인 중국과 자국과의 분리문제,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한 정교한 동시대 중국인식이 두드러진다. 조선의 전통 한학적 세계관에서 중국과 조선의 분리는 모호하며, 그것은 결국 완결된 국사 내러티브의 완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영어초록

    “Colonial National Learning(植民地國學)” is an experimental concept created to think of Korean National Learning in the 1930s on the same level as those of Japan and China. “Colonial National Learning” refers to the precedents of Japan and China, while also having a unique relation to contemporary colonial studies and Marxism. National Learning(國學) in East Asia had a subtle position within the university system, as modeled on Western universities. The marginal position of National Learning was worst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Takahashi Toru(高橋亨, 1878~1967) did not give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an academic domain of Korean Literature, nor did he use Western academic methodology. Rather, he continued to practice the traditional kangaku style, in which Korea was not separated from China in Sinographic texts. In the private academic field, Kim Tae-joon(金台俊, 1905~1949) criticized Jeong In-bo(鄭寅普, 1893~1950), using examples of early Sinologists in Japan. Kim criticized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sources and the lack of Western academic methodologies. In Jeong's view of the world from kangaku, China and Korea were not separated. Kim tried to dismantle kangaku by introducing a modern academic system. The indecisive and vague position of “Colonial National Learning” in academic studies raised the question of the Korean-Chinese relationship in tradition and re-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