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과 마음, 그리고 호흡의 관계: 인바디와 아웃바디의 구도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ind, and breath -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in-body and out-bod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4
23P 미리보기
몸과 마음, 그리고 호흡의 관계: 인바디와 아웃바디의 구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음공부 / 6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고금영, 최준용

    초록

    생명은 들숨과 날숨 사이에 존재한다. 생과 사가 한 호흡에 있다는 말은 눈으로 직접 보고 겪어보지 않으면 실감하기 어려울 것이다. 병리학적으로 날숨이 나가지 않는 모양새는 마치 죽음의 순간과도 흡사하다고 할 수 있다. 들어 마신 숨이 나가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못하면 인체는 탁기로 인해서 경직이 오고 호흡 근육의 작용 또한 멈추게 된다. 즉, 비움은 생이며, 비우지 못함은 죽음과도 직결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다면, 비움의 방법 면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불필요한 것들을 덜어 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동물은 불필요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데 반해서 식물은 광합성 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므로, 그 결과 이산화탄소는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게 된다. 인체는 산소를 흡수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하게 되며, 이러한 물질 외에도 지나친 생각 등의 분별 망상 또한, 비움의 대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호흡은 정신수양적인 면을 강조하는 면에서 해부학적인 인체뿐만 아니라, 기능학적인 인체와의 조화력을 기르고자 함은 유한한 삶속에서도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영원성을 추구하는 초월적 의식일 것이다. 인체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해부학적으로 설명 기능한 ‘인바디(in-body)’와 육안으로는 볼 수 없으나 기능학적으로 설명 기능한 ‘아웃바디(out-body)’가 함께 공존한다는 가설 하에 이 논문에서는 동양전통의 호흡에 대한 이해와 현대의학의 관점을 검토하여 살펴보고, 인바디, 아웃바디의 구도를 통해 태식호흡이나 단전주선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Life exists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It would be difficult to realize that life and death are in one breath unless you see and experience it with your own eyes. Pathologically, the appearance of not exhaling can be said to be similar to the moment of death. If the inhaled breath does not go out and carbon dioxide is not discharged, the human body becomes stiff due to takgi and the action of the respiratory muscles also stops. In other words, since emptiness is life, and failure to empty leads to resul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death. Then, the best way in terms of emptying is to practice removing unnecessary things. Animals emit unnecessary carbon dioxide, whereas plants utilize carbon dioxide through photosynthesis, which results in the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and the release of oxygen. The human body leads a healthy life by absorbing oxygen, and in addition to these substances, delusions of discrimination such as excessive thinking can also be considered as objects of emptying. In terms of emphasizing the mental cultivation aspect of breathing, trying to develop harmony with not only the anatomical human body but also the functional human body is a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pursuing eternity to lead a healthy lite even in a finite life.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body is an anatomically describable 'in-body' that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nd an 'out-body' that cannot be seen with the naked eye but can be functionally explained, coexist.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thing is examined by examining the understanding of breathing in the oriental tradition and the perspective of modem medicine, focusing on in-body and out-body. In-body and out-body, I tr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aesik breathing or danjeonju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