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초처분과 증액경정처분 사이의 실체적, 그리고 소송상 관계에 관한 고찰 (On Legal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ax Assessment and Additional Taxes through Corrective Disposition under The Korean Tax System)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5
54P 미리보기
당초처분과 증액경정처분 사이의 실체적, 그리고 소송상 관계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17권 / 1호 / 176 ~ 229페이지
    · 저자명 : 윤지현

    초록

    당초처분이 있은 후 증액경정처분이 있으면 실체법상 또는 소송법상 어떠한 법률효과가 발생하는지에 관하여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고, 특히 국세기본법 제22조의 2가 신설된 이후 이러한 논의가 어떻게 수정을 받아야 하는지의 문제 역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글은 이러한 쟁점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이에 따라 최근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의 내용에 관한 필자의 평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증액경정처분의 실체적 법률효과와 소송상의 취급은 서로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 때문에 별개의 논리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 전제로 하였다. 현실적으로 증액경정처분은 당초처분과 별개의 처분이기 때문에 실체적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는 이 점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소송상 증액경정처분을 어떻게 취급하여 심판의 범위를 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기본적으로 소송의 주재자인 법원에 맡겨져 있는 문제이고, 또 총액주의 소송물 이론이 이미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당초처분이 증액경정처분에 ‘흡수’된다고 설명하더라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다만, 증액경정처분이 있으면 당초처분에 의하여 확정된 세액에 대하여서도 항상 다툴 수 있는지 여부는 불가쟁력 또는 제소기간 제도의 적용 범위에 관한, 별개 차원의 검토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덧붙여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이 실체-소송 차원을 분리하여 당초처분과 증액경정처분의 관계를 설명함으로써 간명한 결론에 이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명이 ‘일관성’이 없다고 지적하여 온 기존 학설들의 해석방법론적 전제에 관하여도 의문을 제기하여 두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On Legal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ax Assessment and Additional Taxes through Corrective Disposition under The Korean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09 rendered a decision on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tax assessment and additional taxes through corrective disposition (the “Decision"), which had long been subject to hot debates within the community of tax law experts in Korea. The National Congress in 2001 had added Article 22-2 to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with an intention to put a stop to the controversy, but it had been suggested that there were still many issues to be settled by the Supreme Court with respect to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Article. The Decision is regarded as the first attempt by the Court to address such issues.
    This article mainly asserts that, although the initial assessment and the corrective disposition (or re-assessment, if literally translated) are undeniably separate government actions, the court may deem them to constitute a single tax assessment, if necessary, to try them within a single procedure. The court needs this legal fiction, because ⅰ) the position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as a rule, there should be only one case for each tax liability, and ⅱ) the court is believed to have broad discretion to set its own procedural rules. This article tries to solve the aforementioned controversy and appreciates the Decision in light of the above main assertions.
    Review of another relevant issue follows. Under Korean tax litigation system, a taxpayer must file its complaint within 90 days from the date of receiving the tax assessment. Otherwise, he would forfeit his right to dispute the tax liability. If the taxpayer forfeited his right to dispute, but subsequently the tax authorities levy additional taxes through corrective disposition, which the taxpayer on this time decides to dispute, can the court review the portion of the tax levied through the initial tax assessment? This has also been an unsettled issue under the new Article 22-2 and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whether the Decision touched the issue at all, and if so, what was the position taken in the Decision on this issue.
    Finall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us far most of the commentators have attempted to give answers to the foregoing issues by relying on such terms as “absorption" (of the initial assessment into the re-assessment) or “co- existence" (of both assessments). This article questions whether such ap- proaches based upon abstract terms that are devised by the commentators without any statutory bases are methodologically correct and suggests that it is a better approach to focus on the statutory provisions that are relevant on an issue-by-issue basis, than applying either the “absorption" or “co-existence" theory with consistency, which is artificial and unjust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