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일신고의 수행론 : 중국도교와 비교하여 (A Study on the thoughts of ( Korean Sundo )『Sam-il-shin-go(三一神誥)』 : About the philosophy of Sung-tong-gong-wan and the method of practi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8
40P 미리보기
삼일신고의 수행론 : 중국도교와 비교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2호 / 495 ~ 534페이지
    · 저자명 : 박진규

    초록

    삼일신고는 한국선도의 경전이다. 삼일신고의 선도사상은 性通ㆍ功完ㆍ朝天으로 요약된다. 성통이란 자력수행을 통하여 자기에게 내재한 신성과의 합일을 이루는 개인완성 과정이다. 공완이란 재세이화를 위해 세상에서의 공덕을 쌓는 것을 말한다. 조천이란 성통하고 공완한 다음에 하늘(근원)으로의 회귀를 말한다. 삼일신고의 성통ㆍ공완ㆍ조천은 단군신화의 사유전통과 같은 맥락선 상에 있다. 단군신화에서 나타나는 자기수련을 통한 신성의 회복과정을 성통에 비유할 수 있고, 인간세에서 공완하는 神人을 묘사한 점은 공완으로 비유할 수 있으며, 단군이 사명을 이루고 난 후 산신이 되는 것은 조천에 비유된다. 단군신화가 한국선도의 기원사상이 된다는 점에서 그와 맥락을 같이하는 삼일신고가 전통사상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고 본다.
    삼일신고의 수행론은 止感ㆍ調息ㆍ禁觸을 통해서 성통공완에 이르는 과정이다. 지감ㆍ조식ㆍ금촉은 인간의 三眞인 性ㆍ命ㆍ精을 회복하기 위한 수행법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성ㆍ명ㆍ정은 道敎內丹學의 인체 三寶인 精ㆍ氣ㆍ神과 유사하나 그 개념이 서로 같은 것은 아니다. 성ㆍ명ㆍ정은 인체를 논하기 이전의 원형적인 인간의 세 가지 구성요소이다. 정ㆍ기ㆍ신은 인간의 잉태나 탄생으로부터 존재하는 것이며, 도교의 생명사상을 근간으로 한다. 선도의 최고 경지에 도달하기위한 내련과정에서도 止感ㆍ調息ㆍ禁觸과 煉精ㆍ煉氣ㆍ練神은 차이가 있다. 둘 다 완성을 추구하지만 지감ㆍ조식ㆍ금촉은 성품에 근본하여 心을 다스리는 방법에 가깝고 내단학의 연정ㆍ연기ㆍ연신은 몸에 근본하여 氣를 다스리는 방법에 가깝다.
    선도에서 腦는 成仙의 주요부위에 해당한다. 삼일신고의 ‘降在爾腦’는 뇌를 神性이 품부되어 있는 곳으로 인식하는 말이다. 한편 내단학의 ‘還精補腦’는 뇌를 성선의 관문, 혹은 仙ㆍ人 초월의 경계로 인식하고 있어 뇌개념에 있어서도 다소 차이가 있다.

    영어초록

    Sam-il-shin-go is the scripture for Korean Sun-do. The thoughts of Sun-do in Sam-il-shin-go can be summarized as Sung-tong․Gong-wan․Jo-chun. Sung-tong refers to the process of personal completion through which a person can be united with the divinity within from the practice of one’s own. Gong-wan refers to the contribution of oneself in the world for Jae-se-i-hwa. Jo-chun refers to the return to the origin after Sung-tong and Gong-wan. Sung-tong․ong-wan․o-chun in Sam-il-shin -go are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of ideas in Dahn-gun mythology. The process of recovering one’s divinity through practice from Dahn-gun mythology can be compared to Sung-tong. The Sun-in(an enlightened spiritual being) who contributes himself to the world of human-being can be compared to Gong-wan. Finally, the transformation of Dahn-gun to Sun-in after achieving his mission can be compared to Jo-chun. As Dahn-gun mythology becomes the origin of Korean Sun-do thoughts,Sam-il-shin-go which has close connection with it is also seen to have the value as traditional thoughts.
    The practice method in Sam-il-shin-go is the process of which one can be guided toward Sung-tong․Gong-wan through Jigam․oshik․eumchok. Those are the practice method in which human can recover the three different essences of human being - Sung․yung․ung, Any detailed specific methods are not suggested at all. Sung․yung․ung corresponds to Jung․i․hin which are three treasures of human body, but they don’t actually have the same concept. Sung․yung․ung are three original elements of human being’s existence before human body is formed. Jung․i․hin are generated from a pregnancy or a birth of human being and they are derived from the ideas about life in Taoism. Jigam․oshik․eumchok and Yun-Jung․un-Ki․un-Shin hav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practice toward the highest realm of Sun-do. They are the same in the sense that both seek for the completion. However, Jigam․oshik․eumchok are closer to a way of controlling ones mind on the basis of personality, and Yun-Jung․un-Ki․un-Shin in inner Dahn-hak are more of a way of controlling Ki energy on the basis of human body.
    In Sun-do, a brain is a major key for Sung-sun(成仙:accomplishing the highest stage of zen). ‘Kang-jae-i-nwae’ from Sam-il-shin-go implies the realization that the divinity resides in the brain. On the other hand,Hwan-jung-bo-nwae in inner Dahn-hak recognize the brain as the gate of Sung-sun or the border of transcendence between a spiritual being and human. Therefore,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concept of brain, t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