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토니 플루와 존 맥키, 존 힉, 그리고 앨빈 플란팅가의 현대 신정론 논쟁 (Theodicy Debate in Anthony Flew, John L. Mackie, John Hick and Alvin Planting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안토니 플루와 존 맥키, 존 힉, 그리고 앨빈 플란팅가의 현대 신정론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연구 / 55권 / 1호 / 91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장생

    초록

    논문의 목적은 플루와 맥키, 힉 그리고 플란팅가 간의 신정론 논쟁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플루와 맥키는 신은 자기 속성상 악과 양립할 수 없기에 인간의 삶에서 경험되고 있는 악을 명증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면 무신론 논증이 유신론 논증보다 인식론적으로 더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플란팅가는 형식논리학적으로 신이 부여한 인간의 자유를 가정하는 것은 선뿐만이 아니라 악에 대한 선택도 포함하는 것이고 따라서 자유의지에 의한 악의 선택은 신 존재 믿음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힉은 플루와 맥키의 논증이 절대적이며 무제한적인 신의 전능성을 전제하는 것이고 이는 인간과 자유로우며 성숙한 관계를 가지기 원하는 신의 속성에 반하는 것이라는 비판을 한다. 다른 한편, 힉은 두 가지 점에서 플란팅가를 비판한다. 첫째, 플란팅가의 자유의지 변증은 성서적 신화 서술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어 현대적 관점에서 합리성에 대한 의구심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 플란팅가의 신정론 체계 속에서 악은 형식 논리학적 의미 이외에는 어떠한 의미도 가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힉은 악이 인간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성숙을 가져오고 종말론적 소망 안에서 신과의 참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한다고 말한다. 이들의 논쟁은 신정론에 있어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이들은 고대 신정론을 현대적 논증 방법을 사용하여 재해석 하여 고대와 현대의 신정론을 만나게 해준다. 둘째, 이들의 논쟁은 종교철학과 신학적 논의의 합류를 보여준다. 셋째, 힉의 신정론은 신의 합리성과 타당성이라는 전통적 변증의 성격을 넘어 종말론적 신의 왕국으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어 신정론의 확장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bate among Anthony Flew, J. L. Mackie, John Hick and Alvin Plantinga in the context of the theodicy and to find its meaning. Flew and Mackie argue that atheism would be more feasibly reasonable than theistic argument, when evil and god are incompatible and the evil that is experienced in human life is taken as an obvious fact. However, Plantinga argues that the choice of evil by human free will is indispensable, since it is necessary to assume not only the good but also the evil by the choice of free will. Hick argues that Flew and Mackie's argument presupposes absolute and unlimited divine omnipotence and it is opposed to biblical description of properties of God to have a free and mature relationship with humans. Hick criticizes Plantinga in two respects. First, Plantinga's free will apologetics accepts uncritically the mythical narrative of the Bible, and its rationality is questionable from the modern point of view. Second, in Plantinga's theodicy, evil does not have property but formal logic. The meaning of evil that Hick suggests is that pain and challenge lead to moral and religious maturity of human beings, which enables them to have a true relationship with God in eschatological hope. These arguments have three meanings in theodicy. First, they reinterpret the ancient theory of theodicy using modern methods of argumentation and show the encounter between ancient and modern theory. Second, their debate shows the convergence of religious philosophy and theological discussion. Third, Hick 's criticism of the former reveals that the theodicy extends to the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beyond the traditional rationality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