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제와 삶 그리고 경제교육’의 교양교육적 본질과 가치에 관한 연구 (The Intrinsic Essence and Value of Economic Education in Human Economic Activities and Economic Lif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3
38P 미리보기
‘경제와 삶 그리고 경제교육’의 교양교육적 본질과 가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9권 / 1호 / 295 ~ 332페이지
    · 저자명 : 김준태

    초록

    본 연구는 인간과 사회의 경제행위와 경제적 의사결정에 대한 앎의 본질적 속성을 탐색한 후 그것이 교양교육의 지평속에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에 대한 앎은 자기 자신에 대한 생명유지와 존재유지에 대한 앎이요 지식이므로 삶의 주체성의 가장 중핵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존재하는 한 중단될 수 없는 “경제하여야 함”에 대한 근원적 앎이며 삶의 흐름과 연결되는 앎이다. 경제에 대한 앎은 자신의 삶을 책임감 있고 의미 있게 영위하는 지식과 이해의 추구이며, 이런 개인의 추구가 모여 공공선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 교양교육의 본질적 속성속의 경제교육이 갖는 가치가, 학습을 통해 내면화된 지식과 기능 그리고 태도라는 통합적 역량에 있으며 개인과 경제사회공동체의 기회비용을 줄이며, 기회비용을 고려한 최적의 경제적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 근원적 의의를 가지는 교육임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경제에 대한 앎과 교육은 자신의 삶을 책임감 있고 의미 있게 영위하는 지식과 이해의 추구이며, 이런 개인의 추구가 모여 공공선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제에 대한 교육은 우리의 삶의 영위에 대한 통찰의 영역이며 삶을 통찰하는 앎의 형성이 인간으로서의 역동적인 삶이 되게 하고자 하는 교양교육이다. 이러한 경제와 삶에 대한 교육은 경제차원을 넘어서는 사회내 상호작용 및 사회유지를 위한 중요한 토대로서의 기능을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mportant intrinsic essence and value of economic education that helps to single ou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human economic activity in economic life. Investigating the intrinsic essence and value of economic education in a resource-constrained world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of its numerous social elements.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whole-human economy analytical framework which harmonizes multiple aspects of economic education in human economic life.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general education in learning on economic literacy education are explored, and strategic values focusing on instructional model for economic education are discussed in depth to give key func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m. Economic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s a learning where functional real-life economic problems are used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to learners so as to reach the objectives which was covered in educational programs and to use critical thinking and life problem solving skills effectively.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how educational principles can best provide tools that leads to good economic literacy learning outcomes. The educational topic of economic literacy raises the issue of the potential role that might be played by educ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in improving economic decisions by individuals.
    This study's contribution is a finding that principles of general education learning are effective to improving learning outcomes and the attitude toward economic literacy education by reinforcing practicality in real-life economic decision making and self-motivated learning. This paper presents a critical review of the latest research assessing the link between intrinsic essence and value of economic education and human economic activiti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General education helps learners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solve problems, and this study has found positive effects of general education on long-term retention that were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educational process, aiming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conomic literacy key-skills. It necessarily involves a pro-active approach that facilitates learners' involvement in learning, analysis of problematic economic situations or solving real life economic problems. The findings present us with the fact that economic literacy educ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learners' achievements at knowledge and comprehension level of their economic decision ma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