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84년 존 웨슬리의 주일 예배와 수용 과정, 그리고 재조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nday Service of John Wesley in 1784 and the Process of Its Adaptation and Re-examin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9
26P 미리보기
1784년 존 웨슬리의 주일 예배와 수용 과정, 그리고 재조명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6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김형락

    초록

    감리교회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1784년 미국 감리교도들을 위해 예배서를 전수하였다. 이 예배서는 웨슬리의 신학적 배경들, 영국 성공회와 개혁주의적 청교도의 예배관들이 융합되어 형성된 예배였다. 웨슬리는 형식적으로는 영국 성공회의 예전을 중심으로 예배를 구성하였고, 내용적으로는 경건하고 소박한 청교도들의 분위기를 많은 부분 도입하였다. 또한 웨슬리의 초기 기독교 예배에 대한 관심은 그가 이 예배에 초대교회의 자료들을 사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 예배는 미국 상황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미국은 개척지로 고정된 기도문을 읽는 예배를 드릴만한 준비가 되지 않았고 목회자들 역시 이 예배 형식을 선호하지 않았다. 특히, 18세기 말부터 감리교 전통 내에서 천막집회가 급속도로 유행하였고, 이는 미국 감리교회가 존 웨슬리의 예배를 멀리하게 된 주요한 원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 1792년 미국 감리교회의 장정에 나타난 예배는 웨슬리의 예배가 많은 부분 제외되거나 축소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후로 웨슬리의 예배는 19세기 동안 감리교 전통에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웨슬리의 예배는 미국 감리교 전통에서 다시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이는 20세기에 들어 예전부흥운동과 같은 초대교회 예전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유럽과 영국 그리고 북미까지 유행했으며 감리교 전통에서는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인 웨슬리의 예전에 다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제 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이로 인해 미국 감리교 전통은 1932년 최초로 다시 웨슬리의 예배를 자신들의 예배에 복원하였고 1945년에 발간된 최초의 예배서에 수록하였다. 이후에도 웨슬리의 예배는 꾸준하게 감리교 예배신학의 근간이 되어 1992년 연합감리교회의 예배서의 예배를 형성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현대 예배에서 웨슬리의 예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웨슬리가 추구했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고려들을 수용하여 21세기의 상황에 맞게 융합화하는 것이 오늘날 웨슬리 예배를 다시 회복하는 일이다.

    영어초록

    John Wesley, the founder of the Methodist Church, handed down the Book of Worship for American Methodists in 1784. Wesley formed this worship book based on his theological backgrounds, the perspective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Reformed Puritan on Christian worship. Wesley organized his structural form of liturgy based on that of Anglican liturgy, while in terms of content, he included many parts of the atmosphere of pious and simpleness influenced from Puritan tradition. In addition, Wesley's interest in early Christian worship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him to use materials from the early church for this worship. Wesley’s Sunday service, however, was not welcomed in American context. The churches, mostly located in the frontiers, were not ready for performing the liturgy consisted of the fixed prayers, and moreover, the pastors did not prefer this form of worship. Particularly,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camp meeting rapidly became popular within the Methodist tradition, which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distanced itself from John Wesley's worship.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792 excludes many parts of Wesley's worship or appears in a reduced form. Wesley's worship subsequently moved away from the Methodist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however, Wesley's worship was re-examined in the American Methodist tradition. In the 20th century, the movement to return to the liturgy of the early church, such as the liturgical movement, was popular in Europe, England, and North America. Methodist traditions, then, turned their eyes to Wesley's liturgy, which was their theological root. The Second Vatican Council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urther accelerated this movement. Due to these movements, the Methodist tradi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tored Wesley's worship for the first time in 1932, and included it in the first worship book published in 1945. Even after that, Wesley's worship continued to be the foundation of Methodist liturgical theology and was used a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shaping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in 1992. It is not easy to use Wesley's worship in 1784 itself into today’s worship, but accepting the theological meanings and considerations that Wesley pursued and integrating it to adjust the contexts of the 21st century would b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