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고 민주적 함의:2008년 촛불시위 사례 (Protest Using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ts Democratic Implications: The Case of the 2008 Candlelight Protest in Kor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12
37P 미리보기
인터넷 항의와 정치참여, 그리고 민주적 함의:2008년 촛불시위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주주의와 인권 / 10권 / 3호 / 233 ~ 269페이지
    · 저자명 : 고경민, 송효진

    초록

    2002년 이후 발생한 일련의 대규모 촛불시위는 항의의 정치와 인터넷의 만남으로 세대와 계층을 초월한 광범위한 참여를 동원하면서 엄청난 사회적 반향과 학문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글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2008년 촛불시위 사례의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참여 수단인 ‘인터넷’과 대규모 정치항의를 상징하는 ‘촛불’의 만남이 한국 정치참여의 새로운 방식의 등장인지, 그리고 한국 정치에 어떤 민주적 함의를 제시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정치참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하나는 촛불시위 초기의 생활정치 이슈의 대두와 여중고생 및 주부 등 새로운 계층의 자발적인 참여, 그리고 문화제 형식의 새로운 시위문화의 등장이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탈조직화되고 탈중심적인 동원과 조직화를 통해 모든 세대와 계층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로 확산되었으며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저항방식을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둘째, 촛불시위는 ‘직접민주주의’의 강화와 ‘대의민주주의’의 보완 사이에서 어떤 하나의 배타적 선택이 아니라 상호 연계를 통해 제도적 실천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논의로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촛불시위는 민주화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한국에서 항의의 정치가 결코 가볍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선거나 투표와 같은 관습적 정치참여 못지않게 새로운 형태의 정치참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촛불시위는 시민의 정치적 인식이나 정치참여의 양상이 바뀌고 정치참여 환경이 네트워크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정치과정의 새로운 다이내미즘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기존의 정치제도로는 이러한 정치행태들을 온전하게 포용할 수 없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촛불시위는 시민들의 정치참여 채널을 제도적인 틀을 넘어 개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존의 제도와 관행들을 개선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영어초록

    ‘Candlelight Protest’, a series of a large scale demonstration that started after 2002 and understood as the amalgamation of internet and protest politics, mobilized an extensive participation of every generation and social hierarchy and provoked great social sensations and academic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malgamation of “Internet”, the new participant tool, and “candle”, a symbol of large-scaled political protest, is a new way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for people and to discuss its democratic implication by analyzing a candle protest in 2008 which wa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shown as the following. First, it showed a new possibility for political participation in two aspects. One of the aspects is the appearance of politics in early stage of everyday lif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new participatory groups: housewives and female students going to either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The other aspect involves a large scale of voluntarily demonstration and various new methods through the post organizational mobiliz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Second, the discussion about candle protest should be developed to draw out specific solutions that could be institutionally implemented through a mutual link instead of an exclusive selection between the reinforcement of direct democracy and the supplement of indirect democracy. Third, the candle protest shows that the politics of protest still has weight in Korea and suggests that the interest for a new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s no less important than institutional participations like voting. Lastly, even though the new dynamism is made as political recognitions, the political aspects are changed, and the political environments are shifted to network oriented, the candle protest showed that the current political institution cannot embrace the new political behaviors. The candle protest suggests that improving the current institutions and behaviors for citizens' participation should be opened beyond the institutional fr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주의와 인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