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사회당을 위한 변명: 냉전과 사회당의 형성, 그리고 그 유산 (Excuse for the Japan Socialist Party: the Cold War, the formation of the JSP, and its legac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3
45P 미리보기
일본사회당을 위한 변명: 냉전과 사회당의 형성, 그리고 그 유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61권 / 1호 / 111 ~ 155페이지
    · 저자명 : 정혜윤

    초록

    이 글은 일본 민주주의에서 ‘사라진’ 사회당이란 정치집단에 대한 재고를 통해 냉전질서가 일본 제1야당의 성격과 정당체제를 규정하게 된 맥락을 밝히고, 탈냉전 이후에도 연속성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전후 일본 민주주의에서 사회당은 사민주의 정치를 실현할 기회나 시도가 존재했었다. 그러나 냉전 구도가 본격화되고 반(反)개혁의 흐름에 맞서는 사회운동이 확산되며 사회당의 노선・파벌・노동조합 간 관계 등의 당 질서가 새롭게 구축되었다. 아울러 냉전질서에서 비롯된 안보 및 헌법 갈등이 전후 일본 정당체제에서 주요 갈등 이슈가 되었다. 이후 탈냉전시기가 되며 사회당은 몰락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전혀 다르게 보이는 일본민주당이 탄생해 집권에 성공한다. 그러나 민주당 역시 새로운 지지기반을 확보하지 못하며 허약한 당조직을 노동조합에 의존했다는 점에서는 사회당과 공통된 부분이다. 또한 민주당은 정권교체에는 성공했으나 통치에 실패하며 새로운 지지자 집단과 갈등 축 형성에 실패했다. 현재 일본의 제1야당의 지지층은 여전히 호헌에 소구하는 특정 세대를 주요 지지층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 야당정치의 허약함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일본민주주의에서 냉전이란 외부의 구조적 요인이 사회당 당 내부의 이데올로기-파벌-노동조합 간 관계 등 당 내부를 규정했으며, 당시 만들어낸 갈등구도, 정당 간 경쟁패턴은 변형을 겪으면서도 탈냉전 이후 지속성이 있다는 점을 밝힌다. 즉 일본사회당은 허약한 일본 야당의 출발점이자 하나의 원형을 보여주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context of how the Cold War order defined the nature of Japan's main opposition party and party system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a political group called the Japan Socialist Party(JSP), which has ‘disappeared’ from Japanese democratic history. The article also wants to reveal that it is continuous even after the post-Cold War. In Japanese Post-war democracy before the Japan Socialist Party(JSP) had an opportunity to realize social democratic politics, and they actually tried to do it. However, the Cold War structure has begun in earnest and the spread of social movements against the trend of anti-reform has led to the party's new order of ideology, factions, and trade union relations.
    In addition, the conflict over security and constitution stemming from the Cold War order has become a major issue that causes conflict in the Japanese party system Post-war democracy. After the post-Cold War era, JSP collapsed and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DPJ) with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y was born and succeeded in taking power. However, they failed to secure a new base of support and relied on trade unions for weak party organizations. Therefore,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two parties in the phenomenon at the time. In addition, DPJ succeeded in changing the government but failed to govern and eventually failed to form an axis of conflict with a new group of supporters. Japan's main opposition party now has a particular generation of supporters still in favor of Defending the constitution. As a result, Japan's opposition party politics continues to be weak. In this regard, the paper states that external structural factors such as the Cold War defined the ideological-faction-trade unions relations within the JSP, which revealed the persistence of the party system in Post-war democracy despite the transforms in the conflict structure and competition patterns. In other words, this suggests that the JSP of Japan has shown a starting point and a prototype of the weak Japanese op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